위로가기 버튼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답보

김락현기자
등록일 2015-09-10 02:01 게재일 2015-09-10 10면
스크랩버튼
민관협의회 기자간담회 개최<br>“예타용역 불인정, 원점 재검토를”
▲ 대구취수원이전 구미민관협의회가 9일 구미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구미시 제공

【구미】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 대구와 구미시간에 이견을 좁히지 못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대구취수원이전 구미민관협의회는 9일 구미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구취수원이전 예비타당성 용역은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원점에서 재검토 할 것을 주장했다.

윤종호 구미민관협의회 위원장은 “지난 3일 열린 제5차 대구·구미 민관협의회에서 건설기술연구원의 용역 총괄연구책임자가 용역 결과에 대한 책임성이 없다고 말한 만큼 국토교통부의 용역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원점에서 타당성 있는 용역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구시 측이 국토교통부 용역(경북·대구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을 인정하고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용역을 신청하자고 제안했지만 이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사안이다”며 “대구시는 국토부 용역의 부실을 인정하고 재용역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그동안 민관협의회 진행 과정에서 보인 대구시측의 불성실한 태도에 쓴소리를 냈다.

윤 위원장은 “그동안 구미시가 주장한 취수원 이전에 관한 20여가지의 의문사항과 대안 등에 대해 대구시는 그동안 한번도 자료를 제시한 적이 없고, 그에 대한 설명도 하지 않으면서 25년전 페놀 사태만 이야기하고 있다”며 “당시 페놀 사태를 일으킨 두산전자는 현재 구미에 있지도 않으며, 대구 성서공단에서도 벙커C유가 유출되는 등의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가 6차례나 발생했으면서 구미 사고만을 부각시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대구취수원 문제는 4대강 사업 이후 영향 등을 고려한 정부의 낙동강 수계의 수질보전대책과 여러가지 대안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제출, 조사, 연구, 견학 등의 검토용역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대구시가 정치권 개입이나 힘의 논리로 예비타당성 조사용역을 추진한다면 구미는 취수원 이전 반대 10만명 서명운동, 시민 궐기대회 등으로 강력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대구·구미 민관협의회는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5차례 회의를 가졌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