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원시림 속 황룡의 자태 선계에 들어선 듯 황홀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등록일 2014-09-01 02:01 게재일 2014-09-01 12면
스크랩버튼
대한산악구조협회와 함께 한 中國 설보정 트레킹 ④

▲ 쟁염지
▲ 쟁염지

신비한 오색빛 `오채지`

하늘빛 다투는 `쟁염지`

금빛 찬란한 `금사포지`

`신선경` 황룽 풍경구(黃龍風景區)

추안주우쓰(川主寺)진에서 3일간 머물었던 가융신궁호텔을 떠나가는 날이다. 아침식사로 컵 라면을 하나 구해 파트너와 나누어 먹고는 짐을 꾸려 호텔 로비에 내려가니 성격 급한 사람들은 벌써 내려와 삼삼오오로 모여 잡담을 즐기고 있었다.

일행들을 만나 인사를 하니 모두가 흡족한 얼굴들이다. 아마도 이번 트레킹이 힘은 들었지만 만족하고 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일부 사람들은 어제 설보정 트레킹을 다녀와서 피곤함에도 말을 탄 이야기. 설보정의 아름다운 모습 등을 화제에 올려놓고서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었다.

또한 멋진 황룽(黃龍) 풍경구를 관광한다는 기대감에 젖어 천혜 자연의 모습과 여행의 즐거움에 대해 서로가 느낀 점들을 주거니 받거니 했다. 황룽의 으뜸이라 할 수 있는 황룽 풍경구는 인근의 구채구 풍경구와 함께 유명한 곳이다. 구채구와 더불어 1992년에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장족어로 황룽은 `써얼휘`라는 말인데, 그 뜻은 `오색 영롱한 호수`라는 의미다. 카르스트 지형이라 경관이 특이하며 풍부한 자연자원이 있는 곳, 호수가 아름다운 계곡을 따라 자태를 뽐내고 있으니 `현생의 신선경`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에메랄드빛의 푸르고 투명한 황룽의 호수는 이 지역 사람들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에게 `신비의 동화세계`로 알려져 있고, 중국내에서 관광객들이 몰려드는 관광명소다.

▲ 금사포지
▲ 금사포지

특히 황룽과 인근의 주우자이거우(구채구)를 찾아오는 관광객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지난 2003년 9월에 황룽과 주우자이거우 중간지점에 구황(구채구 + 황룡)공항을 새로 만들었다.

쑹판현 추안주쓰진 동북 12㎞지점에 고산을 깎아 해발 3천440m 높이에 공항을 건설했는데, 공항에서 황룽까지 거리는 55km, 주우자이거까지 거리는 88㎞이니 항공을 이용해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편리하게 됐다.

아침 8시에 출발한 차는 산길을 이리 꼬불 저리 꼬불 험준한 길을 잘도 달려 드디어 황룽 풍경구로 들어섰다. 비가 내리고 안개가 자욱 끼어 있다. 주차장에 도착하니 벌써 많은 차들이 도착해 있고 관광객들이 무리를 지어 걸어가고 있다.

우리 일행은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먼저 케이블카 승강장이 있는 곳으로 갔다 여기서 위쪽의 황룽고사까지는 케이블카를 이용해 올라갔다가 걸어 내려오면서 관광지를 둘러볼 계획이다.

황룽 케이블카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2006년도에 건설됐다고 한다. 우리일행들은 케이블카에 탑승해 황룽을 올라가는데, 숲과 산기슭으로 10분정도 걸려 전망대에 도착했다.

케이블카에서 내려 전망을 보니 황룽산과 그 맞은편에 우뚝 쏫은 산이 화산 봉우리인데, 안개에 싸여 희미하게 보일 뿐인데, 그 모습이 더욱 자연의 신비감을 안고 있다. 황룽의 주요한 골짜기는 민산 주봉인 설보정 옥취봉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골짜기의 길이는 약 7.5㎞이고, 너비는 약 2.5㎞이며, 평균 해발은 3천550m다.

▲ 오채지
▲ 오채지

공중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면 마치 한 마리의 황룡이 푸른 산과 계곡의 산림속에 누워있는 듯 하다는 가이드의 설명이다. 오채지에 가기 위해 테그 길로 잘 다듬어진 숲길을 걸으며 펼쳐지고 있는 자연 경관에 흠뻑 취한다. 주변이 산림으로 가득 차 있는데, 말 그대로 산림의 보고다. 안내문에 의하면, 황룽은 천연식물자원의 녹색보물창고로, 여기에 자라나는 식목은 88.9% 정도 덮여 있고, 삼림은 65.8%를 차지하고 있다. 풍경구 안에는 1천500여 종류의 식물이 자란다고 한다. 이처럼 황룽의 삼림은 원시적인 모습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는 것이다.

나무숲속의 테크를 걸어 걷다보니 눈앞에 연못이 들어온다. 이 부근에 위치한 오채지에서 관광을 시작해서 황룡고사~쟁염지~금사포지~세신동~영빈지로 내려서면서 황룽 주변의 아름다운 풍광을 싫도록 맛볼 계획이다.

해발 3천860m 높이에 자리한 오채지는 황룡의 으뜸으로 친다. 693개의 채색 연못들이 2만1천㎡ 안에 들어차 있으니 세계에서 제일 규모가 크고 채지(彩池)가 가장 많은 곳이다.

깊고 넓은 연못에 넘쳐흐르는 물은 오색찬란해 너무나도 아름답다. 눈앞에 펼쳐지는 오채지는 환상적인 석회암 연못의 물은 에머랄드, 코발드 빛 등 형형색색의 빛깔이 돼 필자를 들뜨게 하고 있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의 현상에서 빚어진 오채지의 여러 가지 모습을 보노라면 어떻게 이런 풍경들이 만들어졌을까하는 의문마저 든다.

▲ 세신동 앞에서 필자가 독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세신동 앞에서 필자가 독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오채지를 지나 밑으로 내려서니 황룽고사와 황룡동이 나타난다. 길을 지나 접선교를 지나니 멋있는 연못이 앞을 딱 비티고 서서 가는 길손의 발걸음을 멈추어 서게 한다.

`연못 하나하나가 아름다움을 서로 다툰다`는 쟁염지이다. 해발 3천500m에서 658개의 호수를 자랑하고 있는 쟁염지 역시 이곳의 명소의 하나다.

하나 같이 좋은 풍경들을 보며 테크로 걸어 내려서니 금빛 모래언덕을 만난다. 이 지대의 만년설이 지하로 녹아 흘러 석회물질들이 응고해 형성된 금빛 찬란한 언덕, 금사포지다.

금사포지와 분경지를 구경하고서 조금 더 내려오니 높이 10m 넓이 40m의 쇄신동폭포가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석회화 함몰층이라고 한다.

아래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부서지며 금빛이 도는 폭포다. 황룡사를 가는 참배객들이 이곳에서 몸을 씻었다하여 세신동(洗身洞)이라 불러지게 됐다고 한다.

천연산림 속에서 끝도 없이 펼쳐지고 있는 세신동폭포의 비경에 필자의 마음이 푹 젖는다. 세신동 앞에서 독도사랑 퍼포맨스를 가졌다. 기를 들고서 기념사진을 촬영하는데 중국사람들이 다가서면서 자신들도 사진을 찍게 해달라고 해서 그렇게 해라고 하니 좋아라하면서 기념사진을 찍어댄다.

다시 내려오니 연태비폭이다. 울퉁불퉁하면서도 정교한 모습인 암반 사이로 하얗게 갈라지는 물보라를 보면서 그 아름다운 장면에 마음도 따라 취한다. 연신 카메라에 그 신비한 모습을 담느라 바쁘다.

▲ 연태비폭
▲ 연태비폭

계속 내려오면서 보니 함께 왔던 일행들도 뿔뿔이 흩어지고 중국인과 외국 관광객들 몇 명과 함께 아래쪽으로 길을 걷는다.

금포사지와 오른쪽 분경지를 지나니 비폭류휘 폭포가 나온다. 10m 높이에 폭 60m에서 흘러내리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이리 저리 흩어지고 있으니 마치 비단을 깔아놓은 듯하다.

비폭류휘를 지나니 울창한 편백나무로 둘러싸인 영빈지다. 여기가 황룡의 절경이 끝나는 지점이다. 조금 더 내려가면 배원교 다리가 아름다운 풍광, 천혜의 볼거리 종점에 다다른다. 영빈지에 머물면서 마지막 황룽 풍경구의 절경들을 정리해본다. 한마디로 감탄사다. 자연의 신비인 황룽의 풍경들은 설보정의 만년설이 지하의 광물질들과 녹아 흐르다가 광물질이 굳으면서 특이한 형태로 여러 가지 연못들을 만들어낸 것이다. 황룽 풍경구는 쉐바오딩과 눈 덮인 민산산맥의 봉우리들 그리고 원시림 속에서 감춰진 호수와 폭포 등 아름다운 자연환경의 다양함을 엿볼 수 있는 곳이라 평가해본다.

구경을 다 마치고 나니 그 사이에 조금씩 내리다가 그치기를 반복하던 비가 완전히 그쳤다. 안개에 휩싸인 황룽 풍경구도 멋있다.

▲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주차장 부근에 있는 식당에 들어가 일행들은 식사를 했는데, 관광지라서 분위기도 고급스럽고 나온 식사도 깔끔했다. 식사와 휴식을 취하면서 시간을 보내다가 오후 2시 50분께 주우자이거우(구채구)로 향하는 차에 올랐다.

차안에서 눈을 감고서 오늘 펼쳐졌던 4시간 동안 파노라마하고 드라마틱한 풍경을 즐겼으니 필자는 오늘하루 이곳의 주인공으로 신선놀음을 즐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도 황룡 절경 즐기기에 혼이 빠진 날이니 오늘은 자연이 내린 선물에 필자의 영혼과 육체가 호강을 한 날이다.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