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뤄얼가이 대초원을 휘돌아 흐르는 `아홉굽이 황하` 장관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등록일 2014-08-26 02:01 게재일 2014-08-26 10면
스크랩버튼
대한산악구조협회와 함께 한 中國 설보정 트레킹 ②

▲ 뤄얼가이 초원지대 황하구곡제1만의 모습은 아주 웅장한 느낌을 준다. 전망대에서 하구와 물 흐름을 보면서 넓은 강 유역을 이리저리 돌고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보고 있노라면 세파에 이끌려 숨가쁘게 달려가는 도시인들의 삶이 덧없게 느껴지기도 한다.
▲ 뤄얼가이 초원지대 황하구곡제1만의 모습은 아주 웅장한 느낌을 준다. 전망대에서 하구와 물 흐름을 보면서 넓은 강 유역을 이리저리 돌고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보고 있노라면 세파에 이끌려 숨가쁘게 달려가는 도시인들의 삶이 덧없게 느껴지기도 한다.

트레킹 3일차인 오늘 일정은 등반팀과 트레킹팀으로 구분돼 행선지가 다르다. 한국산악구조협회 주 멤버들이 소속한 등반팀은 설보정 베이스캠프로 가서 훈련을 겸해 2박을 하게 된다.

필자는 트레킹팀을 따라 뤄얼가이 초원지대에서 하이킹 하고서 황하구곡제1만 등을 둘러본 뒤에 이곳 가융신궁호텔로 돌아오는 일정이고, 등반팀과는 내일 설보정 베이스캠프 현지에서 합류할 계획이다. 호텔에서 아침식사를 한 후 아침 8시경 설보정으로 가는 등반팀과 잠시간의 이별을 하고서 트레킹팀 일행을 태운 차는 천주사 시내를 빠져 나가 뤄얼가이 초원지대로 향한다.

해발 3천m 넘는 초원지대서

바람·구름·햇볕을 맞노라면

워즈워드 `초원의 빛` 떠올라

뤄얼가이로 가는 길은 국도 213호로 비교적 좋은 길이고 초원지대까지 버스로 3시간 걸린다. 현지 가이드가 하는 말에 귀 기울이며 한참을 달리다보니 창밖으로 서서히 푸른 초원지대가 나타나고 계속 초원이 이어진다. 늪지와 초원으로 이루어진 자연상태는 그야말로 녹색의 보석처럼 빛난다. 쓰촨성 북쪽에 자리한 뤄얼가이 초원지대의 총 면적은 5.3㎢로 중국에선 다섯 번째로 큰 초원이다.

앞을 보고 뒤를 돌아보아도 사방이 넓은 초원이다. 눈으로는 다 담을 수 없을 만큼 넓은 초원이 펼쳐져 있는데 광활한 모습에 놀랐다. 중국 초원지대는 몽고나 내몽고 쪽의 초원지대가 유명하다.

네이멍구에 위치한 후룬베이얼 초원은 중국 제일의 초원으로 치고 자루터기 초원은 가장 원시적인 모습의 초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평균 해발이 3천400~3천500m인 뤄얼가이 초원지대는 몽고·티베트 지역보다 더 향토색이 짙은 초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가는 길에 야생화꽃이 무더기로 피어있는 지역에서 일행들은 차에서 내려 잠시동안 경관을 구경했다. 초원지대 전체의 풍경이 좋지만 한없이 넓은 곳에서 자연을 대하는 생각을 한번 해보라. 얼마나 마음이 풍성할 것인가. 그래서 가끔씩 여행은 좋은 것이다.

▲ 뤄얼가이 초원지대로 가던 중 야산에서.
▲ 뤄얼가이 초원지대로 가던 중 야산에서.

뤄얼가이 초원으로 가는 도중에서 호텔이 있는 곳에 차가 멈추어 섰고 호텔 식당에서 일행들은 점심식사를 했다. 식사를 하고서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호텔로비를 보니 티베트 특유의 장식으로 꾸며져 있는데 마치 소박물관이나 다름이 없다. 식사를 하고서 다시 차를 달려 목적지에 도착했다. 고원지대에 도착해서 필자는 여기가 고산지대라서 뛰거나 하면 위험하다는 말에 천천히 움직이면서 뤄얼가이의 자랑인 녹색보물단지를 가슴에 담아본다.

저 푸른 하늘이 맞닿은 지평선까지 푸른 초원이 끝없이 펼쳐진다. 주변을 한창동안 바라보다가 자연에 몰입된 탓에 필자는 풀밭에 털썩 주저앉아서 오랜 시간 있고 싶다. 그저 하늘에 흐르는 구름과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과 햇볕 쏟아지는 자연 속에 있노라면 마치 영화 속의 한 장면이나 그렇지 않으면 필자가 시속의 한 구절처럼 느끼는 착각에 빠진다. 그래도 좋을 성 싶다. 초원위에 펼쳐지는 끝없는 자연의 목가적인 사랑을 노래한 영국 낭만파 시인 윌리암 워즈워드의 시`초원의 빛`을 소리 높여 외치고 싶은 충동감이 불현듯 솟아난다.

▲ 야크 떼들이 도로를 건너는 모습.
▲ 야크 떼들이 도로를 건너는 모습.

“여기 적힌 먹빛이 희미해질수록

그대를 향한 마음 희미해진다면

이 먹빛이 하얗게 마르는 날

나는 그대를 잊을 수 있겠습니다.

초원의 빛이여.

꽃의 영광이여.

다시는 돌아갈 수 없다 해도 서러워 말지어다.

차라리 그 속 깊이 간직한 오묘한 세월을 찾으소서”

(이하 중략)

한국에는 초원이 없는 편이다. 설령 있다고 해도 그리 큰 편은 아니다. 평소 광활한 초원을 직접 체험하지 못한 필자에게는 지금 이곳의 현실이 마치 꿈속을 헤매는 듯하다. 그만큼 자연의 아름다움이 가슴 깊숙이에 사무친다는 뜻이다. 초원에서 오랫동안 머물고 싶지만 또 다시 떠나야 한다. 아쉬움을 남긴 채 뤄얼가이 하이킹을 마치고서 우리 일행은 차를 타고 다음 코스로 이동했다.

다시 차에 올라 긴 초원길을 60㎞ 정도 달려오니 초원위로 물굽이가 나타나는데 황하구곡제1만 부근 풍경들이 드러나고 있다. 칭하이성, 쓰촨성, 간쑤성 등 3개성과 인접해 있는 황하구곡제1만은 초원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백하의 발원지다. 이곳에서 발원한 백하는 황하와 합류되어 아름다운 경치를 이뤄낸다.

칭하이성에서 발원해 간쑤성과 쓰촨성으로 유입돼 누얼까이 지역에서 고산(高山)을 만나 물길이 180도로 회전하여, 다시 칭하이성으로 되돌아 가는 곳이 바로 황하제1구곡만이다.

오후 3시30분경 도착한 우리는 초원지대와 늪, 강들을 보면서 명장면을 보기 위해 언덕길을 오른다. 주변에 피어난 야생화와 자연을 보면서 해발고도 3천500m의 고도에 설치된 약 1천개의 나무계단을 오른다. 계속 위로 이어지는 나무계단을 오르면서 필자는 평소에 등산을 부지런히 한 까닭으로 여기는 쉽게 오르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언덕 정상에 올랐다.

▲ 온갖 색깔의 천들이 나무에 매여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 온갖 색깔의 천들이 나무에 매여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눈앞에 황하구곡제1만의 장광들이 펼쳐지고 있다. 굽이치거나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의 장관을 보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힘들게 계단을 올라서는 것이다.

황하제1구곡만의 모습은 한마디로 아주 웅장한 느낌이 든다. 전망대에서 하구와 물 흐름을 보면서 넓은 강유역으로 이리저리 돌고 돌아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보고 있노라니 별안간 바쁘게 살아온 지난날이 생각난다. 이곳 사람들처럼 드넓은 초원이나 광활한 대지에서 자연의 섭리를 닮아 슬로우의 철학으로 천천히 생을 살아가는 것도 큰 의미가 있지 않겠나 생각해본다. 그것은 깨어나면 곧 현실의 벽에 부딪치는데도 자연을 닮는 것이 의미 있는 삶이라는 생각이 자꾸 떠오른다. 황하제1구곡만은 사진작가나 화가들의 천국이라고 한다. 그만큼 경치가 아름답다는 증거다. 사진작가들이 한달 내내 머물면서 이곳의 일출과 일몰장면을 찍는다고 한다.

황하제1구곡만을 보고서 다시 계단을 내려오는 사이 사이, 언제 또 여기에 올 수 있으랴 싶어 주변에 펼쳐지는 경관들을 카메라에 담아본다. 티베트인이 사는 지역에서는 형형색색의 천을 걸어놓은 모습이 자주 눈에 띈다.

▲ 황하구곡제1만 1천여개의 나무계단 앞에서.
▲ 황하구곡제1만 1천여개의 나무계단 앞에서.

돌고 돌아 유유히 흘러가는

백하 발원지 황하구곡제1만

느림보의 삶 일깨워 주는 듯

구경을 하고서 돌아나오면서 인근에 티베트 원주민들이 사는 마을이 있어 그리로 향했다. 동네 가운데 법당이 있는데 아마 티벳불교 성지인 것 같이 보인다. 마을풍경과 원주민들이 사는 생활모습을 모습을 보면서 특이한 장면들을 카메라에 담는다. 티베트 원주민이 말에 올라서 있는 모습을 배경으로 일행들은 기념사진을 찍는다.

티베트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잠시 보고나서 우리 일행은 다시 차를 타고 오늘 아침에 출발했던 천추자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 차를 탔다. 다시 초원평지를 지나면서 도로를 달리는데 차가 가다가 멈추어 섰다. 야크 소떼들이 도로를 건너는 바람에 앞서 가던 승용차가 도중에 멈추어 섰기 때문이다. 특이한 풍경이어서 한 참 동안 구경했다.

▲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오늘 뤄얼가이초원지대와 황하 구경을 마친 우리 일행들은 차를 타고 천주사로 돌아오니 저녁 8시가 돼서 바로 식당으로 향했다. 목장마을식당이란 이름인데 중국 가이드가 차린 음식점으로 이 식당에서는 삼겹살, 김치찌개 등 한국인들을 위한 음식을 꽤 잘한다. 중국에 와서 며칠 안되었지만 김치 등으로 찌개를 끓여 맛나게 먹고 나니 기운이 돋는다. 중국 현지에서도 점차 한국 관광객들의 입맛에 맞는 음식이 개발되는 중이니 반가운 현상이다. 식사를 마치고 숙소로 돌아와 옷가지와 자료들을 정리했다.

내일은 민산산맥의 최고봉인 설보정의 베이스캠프로 이동해야 하니 휴식하면서 조용히 오늘 다녀온 초원지대의 멋진 풍경들을 떠올려본다. 아름다운 뤄얼가이 초원의 풍경들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손경찬 ㈔독도사랑운동본부 대구시연합회장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