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침·식은 땀·가슴통증 혹시 내가 폐결핵?

등록일 2012-03-13 21:57 게재일 2012-03-13 13면
스크랩버튼
`폐결핵`이란
▲ 김성자 과장 (포항 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결핵`은 결핵균 감염에 의해 생기는 감염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고 가장 많이 침범하는 부위가 바로 `폐`이다. 결핵은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 질환이다. 하지만 감염된다고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대개 접촉자의 30% 정도가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의 약 10% 정도가 결핵 환자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과 증상

대부분의 결핵은 결핵에 걸린 환자가 기침·재채기를 하거나 큰소리로 말할 때 결핵균이 공기 중에 나와 다른 사람의 폐포에 흡입돼 발생할 수 있다.

결핵은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미열·피로감·식욕부진·체중감소 등과 같이 특징이 없는 전신 증상이 많다.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침이 가장 흔하고 흉통 객혈·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

◇진단과 치료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서 흉부 X-ray 검사 상 결핵으로 의심되는 병변이 있으면 객담 결핵균 검사를 하는데 객담에서 결핵균이 보이거나 배양이 되면 진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해 결핵균을 확인하기도 한다. 결핵균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임상양상, 흉부 CT 소견, 결핵균 핵산 증폭검사, 조직검사 등을 종합하여 결핵을 진단하기도 한다.

결핵은 적절한 약물 치료로 완치가 가능한 질병으로 6개월 이상 꾸준히 약물 복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를 조기에 중단하거나 불규칙한 복용을 하면 결핵의 재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내성균이 발생하여 치료도 힘들 뿐 아니라,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아지게 되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결핵균은 쉽게 내성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3~4가지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게 되는데 하루에 한 번, 아침식사 30분 전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시 약물 복용시간이나 분복 횟수를 의사와 상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경과 및 합병증

폐결핵은 일반적으로 항결핵제를 치료기간 동안 꾸준히 잘 복용하면 완치 가능한 질환이지만 완치 여부와 무관하게 결핵에 의해 감염된 폐는 다양한 형태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폐실질(폐 자체)부터 흉곽(흉부를 바구니처럼 싸고 있는 뼈대)에 이르기까지 흉부 어디에도 가능하며 결핵을 앓은 흔적에서부터 석회화된 결핵종, 폐실질 내 공동, 기관지 확장증, 라스무센 동맥류 등이 있을 수 있다. 공동내에 진균종이 생기는 경우는 대량 객혈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지속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치료 중에도 객담을 통한 균 검사에서 지속적으로 결핵균이 검출된다면 약제 내성 결핵을 의심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는 치료기간이 더 늘어나고 복용해야 하는 약제의 종류도 늘어나게 된다.

산재보상 문답풀이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