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용은 다른 동물 아홉가지 모습 닮아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2-01-02 19:25 게재일 2012-01-02 25면
스크랩버튼
용(龍)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진 상상의 동물이기에, 민족에 따라서 또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이나 기능이 조금씩 다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인들이 생각해온 용의 모습이란 과연 어떤 것일까?

용은 봉황, 거북, 기린과 더불어 사령(四靈)이라 불려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우두머리에 해당한다.

용은 그 모양에서 다른 동물들과 아홉 가지의 비슷한 모습을 지녔다고 한다. 머리는 낙타와 비슷하고, 뿔은 사슴을 닮았고, 눈은 토끼를, 귀는 소와 유사하다. 또 목덜미는 뱀과 같고 배는 큰 조개를, 비늘은 잉어와 비슷하며, 발의 주먹모양은 호랑이와 닮았으며, 발톱은 매와 비슷하다.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장점이나 최상의 무기를 모두 갖추었으므로, 그 기능이 무궁무진하며 신출귀몰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용은 이무기가 1천년의 오랜 세월을 인고한 연후에, 천우신조(天佑神助)의 때를 만나, 승천하게 되면 용으로 변신하게 되는데, 오색(五色)의 변화를 자유자재로 하며, 크기를 번데기처럼 작게도 하고 천하를 덮을 만큼 크게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 위로 치솟기도 하고 물속으로 잠기기도 할 수 있다.

용이 갈구하는 최후의 목표와 희망은 구름을 박차고 승천하는 일이다. 승천하지 못하는 용은 한갓 웅덩이의 이무기로 머물 수밖에 없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도움말 = 배경보철학원 작명원

명리교실 배경보 원장>

신년특집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