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박물관 특별전 `고대의 문자를 읽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1-12-19 19:20 게재일 2011-12-19 20면
스크랩버튼
글씨 써진 접시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20일부터 내년 2월12일까지 특별전 `고대의 문자를 읽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했던`문자, 그 이후`특별전을 바탕으로 새롭게 재구성한 전시다. 고대의 문자를 살펴보면서 역사 자료로서의 의미와 그 맥락, 해석 등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했다.

전시는 모두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한자의 수용`에서는 중국의 나라들과 갈등을 겪거나 교류하면서 한자를 접하기 시작하던 모습을 살펴본다. 전시된 문화재를 통해 고조선에서는 중국의 명도전, 반량전 같은 화폐와 명문 청동기 등을 받아들였으며 한반도 남부의 나라들은 낙랑군과 교류하면서 한자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변한 지배층의 무덤에서 출토된 붓과 목간의 글자를 지우는 손칼 등이 전시된다.

2부`통치의 기록`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왕을 중심으로 한 지배층이 문자를 통치 수단으로 활용했던 사실을 살펴본다. 문자의 사용으로 왕과 지배층의 결정과 명령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었다. 삼국은 국가체제를 완비하고 율령을 반포해 통치의 기준과 근본을 마련했다. 그리고 국가의 중요한 일들을 기록하고 새겨서 후대까지 전했다. 그 실례의 하나로, 지난해 2백여년만에 재발견됐던 문무왕비편이 공개된다.

3부`불교의 기록`에서는 국보 제 126호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등 국보급 문서자료를 포함해 문자자료를 통해 불교 유입과 동반해 문자가 더욱 널리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의 한 축을 맡았던 불교의 승려들이 중국 문물을 받아들이고 사회에 알리는 구실을 했던 흔적을 살펴보고 중국과의 외교 문서 작성이나 역사서 편찬에 참여했던 이들이 국제성을 갖춘 지식인이었음을 보여준다. 또 불교 수용과 함께 경전도 많이 유입됐으며 만들어졌고 경전의 제작이 인쇄술의 발달로도 이어진 역사를 알아볼 수 있다.

4부`생활의 기록`에서는 문자가 폭 넓게 활용되면서 생활과 관련된 기록들도 많이 남겨졌음을 살펴본다. 지금과 달리 종이는 매우 귀한 물품이었으며 일본 정창원에서 발견된 신라 문서를 통해 행정 문서로서의 기능을 다한 뒤 일본에 수출되는 경전과 기물의 포장재로 재활용됐음을 알아볼 수 있다. 일반적인 내용을 기록할 때에는 종이 보다 나무를 깎아 만든 목간을 더 많이 사용했고 이러한 목간에는 고대인의 생활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그 외에도 기와에 새겨진 왕궁이나 사찰의 이름, 토기 등에 적혀진 명문 등 다양한 문자에서 그 사용처와 용도를 엿볼 수 있다.

문의 (054)740-7602.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