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만큼은 평소엔 잘 입지 않던 한복을 옷장에서 꺼내 입는 날이기도 하다. 한복을 제대로 갖춰 입는 방법과 바른 예의 등을 알아본다.
한복이 다소 불편함이 있긴 하지만 나름대로 우아하고 품위가 있어 보이며 우리의 전통을 살려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한복 체형에 맞춰 입기
자신의 얼굴형과 목선, 체형에 맞는 한복을 골라야 맵시가 난다.
특히 목이 짧거나 굵은 사람은 깃이 내려오고 고대가 깊게 파인 형태가 목이 시원해 보인다. 반면 목이 가늘고 긴 사람은 고대를 높게 하고 깃을 짧게 한 형태가 좋다.
또 작고 마른 체형은 다소 밝은 색상 옷을 고르고, 뚱뚱한 체형에는 짙은 색 옷이 맞다.
이와 함께 한복을 입을 땐 꼭 고무신이나 비단신, 가죽신을 신어야 한다. 하이힐이나 일반 구두는 금물. 손가방도 한복 전용 백을 사용한다.
치마 길이는 땅에 끌리지 않을 정도가 좋다. 바닥에서 2~3㎝정도 떠서 신발코가 약간 보이는게 적당하다.
치마 자락은 반드시 왼쪽으로 치맛자락이 나오게 여미도록 한다. 어른 앞에서는 서 있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두 손을 공수하는 자세가 올바른 자세이다. 일을 할 때 치맛자락이 끌리지 않도록 허리에 끈을 매는 것은 크게 흠이 되지 않으나 일을 할 때 이외에는 삼가하도록 한다.
■한복 차림의 바른 예의
우선 고름을 제대로 매야 한다. 긴고름을 위로 올려 고를 만든 다음 짧은 고름과 긴 고름의 길이가 차이나지 않도록 맨다. 이 때 고의 길이는 4~5㎝정도가 적당하다.
신발 속 버선은 수눅(시접)이 바깥 쪽을 향하도록 하고, 치마의 겉자락이 왼쪽으로 오도록 한다. 치마 안자락과 뒷자락이 겹치는 부분은 층이 나지 않도록 가지런히 한다.
길을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땐 발에 치마가 차이지 않도록 치맛자락을 살짝 잡아올려주고, 앉을 땐 치맛자락이 구겨지지 않도록 무릎을 굽혀 앉는다. 이 때 손은 편안하게 무릎에 올려 놓고, 등은 벽같은 곳에 기대지 않는다.
남자는 외출할 땐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하고,마고자 차림으로 나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기 집이 아니라면 실내에서도 두루마기는 벗지 않는 것이 예의다.
■속옷을 잘 갖춰입어야
한복의 맵시는 속옷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속옷을 갖춰입는 것이 중요하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3㎝정도 짧게 입고 겉치마와 달라붙지 않고 안이 비치지 않아야 한다.
속바지와 속치마, 속적삼을 모두 갖춰입는 것이 원칙이며 이렇게 입으면 땀이 나도 한복에 때가 덜 묻어 세탁을 자주 안해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젊은이들 사이에 패치코트형 속치마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절할 때 패치코트가 들려서 어색한 자세가 나오기도 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