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대구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대구의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전국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4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11월 대구·경북지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소비자물가 지수는 105.19(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전월대비로는 0.9% 하락했다.특히 신선식품의 물가 상승이 눈에 띈다.신선식품물가지수는 전월과 비교하면 9.2%가 떨어졌으나 전년대비 11.7%나 증가했다.과실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3% 오르며 물가를 견인했으며, 과일이 122.83으로 전년동월대비 16.6%, 채소 및 해조의 물가지수는 119.60으로 같은 기간 11.4%올랐다.대구의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105.87로 전월대비 1.3% 내렸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7% 올랐다.지출목적별로 보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5.9%), 교통(3.4%), 음식 및 숙박(3.2%),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1.9%) 등은 전년동월대비 상승했고, 통신(-1.9%), 보건(-0.1%)은 내렸다.경북의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대를 기록했다.지난달 경북의 소비자물가 지수는 104.50으로 전월대비 0.8% 내렸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1% 올랐다.생활물가지수는 105.03으로 전월대비 1.3% 하락, 전년동월대비 2.5% 상승을 기록했다. 경북 역시 신선식품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5% 오르며 114.83을 기록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8.5%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지출목적별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5.5%), 교통(3.3%), 교육(2.4%), 음식 및 숙박(2.4%),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1.8%) 등은 올랐으며 통신(-1.9%), 보건(-0.3%)은 하락했다.한편,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하고 있다. 농산물, 외식 서비스 물가가 전반적인 상승 요인이었다.11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3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 상승했다. 12개월째 1%대를 유지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10월 2.0%를 기록한 데 이어 11월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이상 연속으로 2%대를 유지한 것은 지난해 7∼9월 이후 처음이다.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전기·수도·가스, 서비스의 상승폭 확대로 10월과 동일하게 소비자물가가 2.0% 상승했다”면서 “10월과 비교하면 출하량이 증가한 채소·과실의 가격이 내렸고 유류세 인하로 석유류 가격이 내려가 전체적으로 0.7%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고세리기자manutd20@kbmaeil.com

2018-12-05

티웨이항공, 하노이·구마모토 노선 취항식

티웨이항공은 29일 대구국제공항 여객터미널에서 하노이, 구마모토 노선 신규 취항식을 가졌다.이번 취항식은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 남흥섭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장, 조무영 부산지방항공청장,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대구∼하노이 노선은 주 7회(매일)운항한다.대구에서 오후 10시에 출발하는 일정이고 돌아오는 편은 화, 수, 목, 토요일의 경우 하노이 현지에서 오전 1시55분에, 월요일과 금요일, 일요일의 경우 오전 2시55분에 출발한다.대구∼구마모토 노선은 주 3회(화, 목, 토)운항하며 대구에서 오후 2시15분, 돌아오는 편은 구마모토에서 오후 4시15분에 출발하는 일정이다. 비행시간은 1시간 정도다.이로써 티웨이항공은 대구에서만 제주, 오사카, 괌, 타이베이, 도쿄, 후쿠오카, 홍콩, 세부, 오키나와, 다낭, 방콕, 블라디보스토크, 구마모토, 하노이 등 모두 14개의 독보적인 최다 노선을 운항하게 됐다.11월 들어 대구공항에서 티웨이항공을 이용한 누적 여객 수가 500만명을 돌파한 상태다.또 대구·경북 지역민의 관심과 애정을 반영하듯 올 1월부터 10월까지 대구공항에서 국제선을 이용한 전체 이용객의 55%인 약 100만명에 달하는 92만2천408명이 티웨이항공에 탑승했다.티웨이항공 관계자는 “티웨이항공은 지난 2014년 첫 취항 이후 변함없이 대구공항의 하늘길을 넓히며, 지방공항 활성화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노선과 서비스로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사랑에 늘 보답하는 1등 항공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