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1인당 쌀소비 최저 수준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30년여 만에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8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 양곡연도’(2017년 11월 1일∼2018년 10월 31일)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0㎏으로 전년보다 0.8㎏(1.3%) 줄었다.가구 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67.3g으로 역시 전년대비 1.2%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임을 고려하면 하루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지난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30년전(1988년 133.4㎏)에 비해 절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다만, 편의점 도시락이나 가정간편식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 쌀 소비량이 최근 급증해 가구 내 소비량 감소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은 지난해 75만5천664t으로 전년보다 6.8%증가했다.제조업 쌀 소비량을 업종별로 보면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 식품이 14만7천474t으로 1년 전보다 29.0% 늘었다.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등에 공급되는 삼각김밥, 도시락이나 가정 간편식으로 주로 사용된다.제조업의 쌀 소비량은 2014년 53만4천999t으로 전년 대비 증가(1.7%)로 전환한 뒤 2015년 7.6%, 2016년 14.5%, 2017년 7.4%로 지난해까지 5년째 증가 추세다.특히 1인가구 등이 늘어나면서 집에서 직접 요리하지 않고 가정간편식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 쌀을 덜 소비하지는 않는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전년 대비 쌀 소비 감소분을 전체 인구로 환산하면 4만1천t가량”이라며 “제조업에서 늘어난 쌀 소비량은 4만8천t으로 쌀 소비 절대량이 감소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2019-01-30

티웨이항공, 3~4월 해외여행 특가 이벤트

티웨이항공은 오는 3∼4월 따뜻한 봄의 여행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특가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20일 밝혔다.이번 이벤트는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27일까지 일주일간 티웨이항공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웹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대상은 대구·김포·광주·무안에서 제주로 왕복하는 국내선과 대구와 인천, 부산, 김포, 제주, 무안에서 출발하는 국제선이며 탑승기간은 국내선의 경우 오는 21∼28일, 국제선의 경우 오는 3월1일부터 4월30일까지다.국내선 편도 총액운임(유류할증료와 공항시설이용료 포함)은 1만6천400원부터다.국제선은 △기타큐슈 4만2천500원부터 △후쿠오카·오이타·사가·구마모토 4만7천500원부터 △도쿄(나리타) 5만900원부터 △나고야 6만2천500원부터 △마카오 6만8천200원부터 △타이중·가오슝 7만900원부터 △클락 8만3천200원부터 △블라디보스토크 8만8천760원부터 △괌 11만3천760원부터 등이다.티웨이항공 관계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티웨이항공의 전담 직원이 배정돼 해외 여행이 익숙지 않은 고객의 출·도착 과정을 돕는 티케어(t’care)서비스도 적극 추천한다”며 “봄의 시작인 3월 티웨이항공의 다양한 취항지와 함께 따뜻한 여행을 준비해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김영태기자piuskk@kbmaeil.com

2019-01-20

“우리 아이 비타민 사탕먹다 성인병 걸릴라”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 비타민 캔디의 당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어린이 때 당류를 과다 섭취하면 비만과 더불어 나중에 성인병 위험이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몰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비타민 캔디 20개 제품에 대한 영양성분 함량을 시험한 결과 대부분이 당류로 이뤄져 있어 섭취량을 조절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조사대상 20개 제품 1개당 중량은 1.1∼1.43g이었고 1개당 당류 함량도 적게는 1g에서 많게는 1.39g였다. 1회 섭취량 당 당류 함량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권고하고 있는 가공식품을 통한어린이 1일 당류 섭취 기준량(37.5g)의 10∼28% 수준에 달했다.식약처는 하루 전체 당류 섭취량뿐 아니라 별도로 가공식품 당류 섭취량 기준을 마련해 권고하고 있다. 어린이들이 밥이나 반찬뿐 아니라 사탕이나 음료, 과자 등 가공식품을 통해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일반 캔디로 분류된 9개 제품은 당류 함량이 표시돼 있지만,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된 11개 제품은 함량 표시가 없었다.5개 제품은 제품명 등에서 강조한 영양성분 함량을 표시하지 않았으며 10개 제품은 원재료로 유산균을 사용한 것으로 표시했으나 유산균 수는 기재하지 않았다.일반 캔디 제품 가운데 7개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있었다.20개 제품 모두 미생물과 중금속 시험결과에서는 적합 판정을 받았다.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비타민 보충이 목적일 경우 당류를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먹는 양을 조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2019-01-17

“헤나 염색 했더니 얼굴 전체가 검게 착색”

최근 일부 ‘헤나방’에서 염색 후 발생한 피부 트러블 등 피해와 관련 보건복지부,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주요 점검 내용은 △헤나방 영업 현황 점검 및 염색 시술 실태 조사 △무면허 및 미신고 이·미용업소 단속 △다단계 판매업자의 반품·환불 등 소비자불만 처리 적절성 조사 △다단계판매업자(판매원 포함) 및 제조판매업자의 허위·과대 광고 단속 등이다.이와 함께 품질에 문제가 있는지 수거해서 검사하고 보고된 부작용 사례도 분석할 계획이다.한국소비자원은 헤나 제품을 이용해 염색이나 문신을 했다가 피부가 검게 착색되는 등 피해를 본 사례가 늘고 있다며 소비자 주의를 당부했다.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 1월부터 지난 10월까지 최근 3년 10개월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들어온 ‘헤나 위해’사례는 모두 108건에 달했다.2015년 4건에 불과하던 헤나 관련 위해 사례는 2016년 11건으로 늘었고 2017년 31건으로 급증했다.특히 지난해 10월 현재까지 접수건수는 모두 62건으로 2017년 같은 기간 대비 121.4%나 급증했다.품목별로 보면 헤나 염모제 위해 사례가 105건(97.2%)으로 대다수였고, 헤나 문신염료 사용 사례는 3건(2.8%)이었다.부작용은 피부발진과 진물, 가려움, 착색 등이었고 염색 후 피부가 검게 착색돼 몇 달간 지속하는 사례가 59.3%(64건)로 가장 많았다./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2019-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