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쌀 가격이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12월에는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생산량 감소에도 시장 공급량은 증가해 전반적인 수급 균형을 유지할 것이란 분석이다.
25일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산지 쌀값(20㎏)은 5만6998원으로 지난해보다 24.7%, 평년보다 15.7% 상승했다. 2024년산 재고 소진과 2025년산 생산량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소매가격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11월 쌀 소매가격(10㎏)은 3만4611원으로 지난해와 평년보다 각각 20.1%, 18.6% 높았다.
2025년산 쌀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3% 감소한 353만9000t으로 집계됐다. 재배 면적도 67만7514㏊로 2.9% 줄어들었다.
산지 벼 매입 실적은 181만7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감소했다. 생산량 감소와 신곡 수확 지연, 가격 상승 기대심리 등이 매입량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산지 유통업체 재고도 벼 매입량 감소와 조생종 선출하 영향으로 줄었다.
반면 시장 출하 목적의 농가 재고는 증가했다. 가격 상승 기대심리로 판매를 미루는 경향이 커졌고, 특히 대농 중심으로 물량이 쌓이면서 시세 관망 후 출하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영향으로 12월 쌀값은 현 수준에서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2025년산 쌀 수급은 정부의 시장격리 물량 10만t을 고려해도 약 3만2000t 수준의 과잉 상황이다. 다만 조생종 선출하 물량이 적지 않아 체감 공급 여력은 지난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한울 곡물관측팀장은 “전반적 수급 상황이 균형을 이루며 12월 가격은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면서도 “정부 추가 매입(피해곡), 농가 보유 재고, 벼 매입 가격 등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정혜진기자 jhj1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