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국제음악제’가 남긴 성과와 숙제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11-23 18:46 게재일 2025-11-24 14면
스크랩버튼
관객 동원과 접근성 등 성과에도 행사 구성·운영 방식 등 비판
관객 수요 분석·예산 편성 합리성 제고 등은 향후 과제로 남아
Second alt text
‘2025 포항국제음악제’ 개막 공연 모습. /포항문화재단 제공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열린 ‘2025 포항국제음악제’가 관객 동원에 성공하는 등 성과가 좋았다. 행사를 주관한 포항문화재단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행사 구성과 운영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잇따르는 등 비판도 만만치 않다. 건물 공사 등 사유로 인해 당초 개최 예정지인 포항문화예술회관이 아닌 포항시청 대잠홀 등 시내 여러 공간에서 분산 개최된 것부터 아쉬움을 남겼다는 뒷얘기다.

△포항문화재단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 접근성 개선”
포항문화재단 측은 이번 공연 성과와 관련해 “포항문화예술회관 공사 관계로 부득이하게 분산 개최를 결정했다”며 “효자아트홀, 대잠홀 등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을 열어 오히려 접근성이 개선됐다”고 자평했다.
이어 “이번 포항국제음악제는 하겐 콰르텟, 소프라노 황수미와 바리톤 사무엘 윤의 듀오 무대, 피아니스트 손민수와 포항시립교향악단의 베토벤 ‘황제’ 협연 등 세계적 연주자들이 참여한 메인 콘서트가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포항 시민뿐 아니라 전국 관객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라고 밝혔다.

△“공연 시간 편중과 장기 일정에 피로감 호소”
7일간의 일정 중 총 14회의 공연이 진행됐으나, 대부분의 공연이 오전 11시와 저녁 7시에 집중된 점이 논란거리가 됐다. 특히 독주회 2회가 평일 오전에 배치되면서 직장인과 학생의 참여가 제한적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역 주민 A씨는 “낮 공연은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주일 내내 이어지는 일정에 피로감이 쌓였다”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실내악 중심 구성에 대중성 부족···지역 연계 미흡”
이번 축제의 메인 프로그램은 총 7회로 구성됐으며 관현악 2회, 실내악 3회, 실내악+독주 1회, 성악 1회로 구성됐다. 당초 ‘실내악 축제’를 내세웠으나, 순수 실내악단 공연 비중은 전체의 약 42.8%에 그쳐 예고와 차이를 보였다. 교향곡이나 협주곡 등 대중에게 익숙한 레퍼토리가 부족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음악평론가 B 씨는 “일부 해외 유명 연주자를 초청했으나, 말러 등 난해하다고 여겨지든 곡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관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Second alt text
‘2025 포항국제음악제’ 중 꿈의오케스트라 포항 공연.  /포항문화재단 제공


또한 지역 음악계 관계자들은 축제의 지역 연계 부족을 비판하기도 했다. 포항문화재단 측이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함께한 실내악 중심의 축제로 포항 전역에 음악적 울림을 전했다”라고 했다는 자평과는 다른 반응이 나온다. 지역 음악가 C 씨는 “초청된 연주자들이 단순히 ‘그들만의 잔치’에 머물렀다는 아쉬움이 크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개막 공연에서 윤한결 작곡가의 창작곡 ‘별신굿’이 세계 초연되며 지역 전통문화를 접목한 시도에 대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지역민이 공감하기 어려운 난해한 곡들로 연주자 중심의 축제라는 인상을 남겼고 또한 포항 연주자들의 참여가 미미해 지역 연계 측면에서도 부정적 비평을 남겼다.
 
△“7억여 원 예산 논란···국제적 요소도 미흡”
이번 행사에 투입된 예산은 7억6000만 원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부에서는 “객원 연주자 초청 비용이 과도하게 책정됐다”는 비판을 앞세워 예산 효율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세계적인 현악 사중주단 하겐 콰르텟의 출연이 지역 축제의 정체성과 예산 대비 효과에 의문을 불러 일으켰다. 음악계 관계자는 “하겐 콰르텟의 공연은 주목받았지만, 다른 국제적 협업이 부재해 ‘글로벌 음악제’로서의 입지가 약화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지역 음악가 D씨는 포항국제음악제가 실내악 중심으로 기획됐음에도 불구하고 개막공연에 페스티벌오케스트라를 별도로 구성해 운영한 점을 지적했다. D씨는 “포항시립교향악단이 이미 폐막일인 13일에 공연을 예정하고 있음에도 불필요한 오케스트라를 임시로 조직해 예산을 낭비한 것 아니냐”며 “지역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채 외부에 의존한 구조적 문제가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 “관객 수요 분석과 예산 투명성 강화해야”
지역 문화예술계는 대안과 관련해 “외부 관객 유치를 위해 저녁 시간대 독창회 확대나 대중적 작곡가의 작품 편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이번 음악제는 모든 공연이 무료로 진행되어 객석이 채워지며 지역 문화 활성화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관객 수요 분석과 예산 편성의 합리성 제고가 향후 과제로 남았다”고 평가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