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돌봄은 인간만 해야 하는가

등록일 2025-11-23 15:13 게재일 2025-11-24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유영희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교수

청소년 소설 ‘GMO 아이’는 2005년에 출간되어 지금도 꾸준히 재판을 찍고 있는 스테디셀러다. 주인공 나무의 부모는 우수한 아이를 낳기 위해 유전자를 변형해서 출산했는데, 이 아이가 불치병이 있자 정 회장 집 앞에 버리고 떠난다. 작품에서 정 회장은 악역 담당인데, 그와는 상관없이 요즘 들어 정 회장이 24시간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건강을 관리하고 집안일을 처리하는 장면이 자꾸 생각난다. 맥박이나 혈압 체크는 물론 식단 등 건강 관리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인공지능 로봇이 점검해준다.

20여 년 전 처음 이 소설을 읽을 때는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는데 최근 요양보호사의 돌봄을 받으면서 생각이 조금 바뀌고 있다. 어깨뼈 골절에 이어 얼마 전에는 발가락뼈까지 골절을 당해 외출이 어렵게 되었다. 다행히 ‘일시 재가 돌봄 서비스’ 대상자가 되어 요양보호사가 와서 도움을 받고는 있는데 문제는 요양보호사들 나이가 많다 보니, 그들도 돌봄을 받아야 할 정도로 컨디션이 안 좋다는 것이다.

처음에 온 요양보호사는 첫날부터 자녀들 걱정 들을 한 보따리 풀어놓더니 나중에는 자기도 다리가 아프다면서 한바탕 넋두리까지 한다. 알고 보니 당뇨도 위험 수치에 있었다. 이렇게 아픈 요양보호사에게 돌봄을 받으려니 마음이 이만저만 불편한 게 아니다. 심지어는 돈이 더 필요하다면서 이용 시간을 늘려달라고까지 하면서 정작 근무 시간에는 게임 삼매경에 빠지기도 했다.

두 번째 온 요양보호사는 매뉴얼은 잘 지키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심장병 수술을 했고, 손목뼈가 부러진 적이 있어서 무거운 것을 들지 못하며 골다공증이 아주 심해서 약을 먹고 있다면서 정신과 치료도 받고 싶은데 시간이 없다고도 한다. 어느 날은 너무 조용해서 찾아보니 작은 방 구석에 앉아 발바닥을 두드리고 있었다. 이런 일을 겪고 나니, 정 회장을 돌보던 인공지능 로봇 같은 기계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불쑥 올라온다.

그러나 과연 AI 돌봄이 최선일까 하는 의문이 들어 두어 달 전 출간된 ‘AI와 간호 돌봄’이라는 책을 구매했다. 간호 돌봄의 인간학적 성찰, 철학적 성찰 등 목차에서 짐작하듯이, AI는 돌봄의 도구일 뿐, 진정한 돌봄의 주체는 사람만 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그 논거 중 일부를 들여다보면, 너무 원론적이고 사변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예를 들어, 돌봄은 인간의 근원적 속성이며, 돌봄은 인간의 존재론적 측면을 드러낼 수 있는 본질적이고 필수적 요소로서, 돌봄 이론의 핵심은 관계적 존재론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돌봄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논리도 옹색하지만, 관계적 존재론이라는 현학적 논리로 돌봄 대상자와 돌봄 제공자가 상호의존적이라는 규정은 탁상공론이라는 생각이 든다.

돌봄 대상자의 상태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상당히 취약해서 그들의 서사를 들어줄 힘이 없고, 돌봄 제공자의 친절과 서비스에 기댈 수밖에 없다. 지나친 이상론에 기댈 것이 아니라 튼튼한 사람이 돌봄 노동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보수를 충분히 주거나, 그런 일을 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있다면 두 손 들고 환영할 것 같다.

/유영희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교수

유영희의 마주침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