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업부, 핵심광물 재자원화 산업 ‘원년’ 선포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1-18 13:06 게재일 2025-11-19 6면
스크랩버튼
민관 합동 포럼 출범··· 폐배터리·전자폐기물에서 리튬·희토류 회수

산업통상자원부가 폐배터리·폐전자제품 등에서 리튬, 코발트, 희토류를 회수하는 핵심광물 재자원화 산업 육성을 본격화한다. 글로벌 자원무기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산업부와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금속재자원산업협회는 18일 ‘핵심광물재자원화포럼’을 출범시키고 재자원화 산업 발전의 원년을 공식 선포했다. 포럼에는 광업공단과 재자원화 기업 등 98개 회원사가 참여했다.

핵심광물 재자원화는 폐배터리, 폐전자제품(PCB), 폐영구자석 등 폐자원을 활용해 주요 광물을 다시 회수하는 산업이다. 원광 대비 회수 효율이 매우 높아 리튬·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광물은 원광의 20배, 희토류 네오디뮴은 80배의 회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재자원화 공정은 원광 정제 대비 에너지 사용 81%, 탄소배출 82%, 용수 사용 86%를 줄일 수 있다.

산업부는 올해 2월 시행된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을 통해 재자원화 산업 육성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내년에는 재자원화 설비 구축 보조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또 지난 3월 관계 부처 합동으로 ‘핵심광물 재자원화 활성화 방향’을 발표한 이후 20여 차례 민·관 협의를 진행하며 규제·제도 개선을 이어왔다. 그동안 ‘폐기물’로 취급되던 재자원화 원료를 ‘자원’으로 규정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원료 수입 시 할당관세 적용, 통관 애로 해소 등 제도 정비도 진행 중이다.

산업부는 포럼을 중심으로 업계 애로를 상시 수집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민관 협력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산업부 윤창현 자원산업정책국장, 여야 국회의원, 광해광업공단 황영식 사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민간에서는 고려아연, 성일하이텍, 희성피엠텍,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재자원화 관련 주요 기업 경영진이 참여해 공급망 협력과 기술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

윤창현 산업부 국장은 “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은 친환경·탄소중립을 넘어 국가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산업”이라며 “정부는 적극적인 육성 정책과 제도개선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