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AI 기반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확정했다. 국제해사기구(IMO)가 2032년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을 마련할 예정인 가운데, 한국이 기술·표준·실증 주도권 확보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지난 6일 한국형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해당 사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사업은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6034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IMO가 제시한 자율운항 레벨4 기술 확보다. 이는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항해·환경 인지·충돌 회피·비상대응까지 AI가 전 과정에서 수행하는 단계다. 한국은 2020~2025년 1단계 기술개발을 통해 레벨3(무인 운항 + 원격 제어)의 기반 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이번 2단계 사업에서 완전 자율운항 체계 구축에 나선다.
△ 자율운항 핵심 4대 기술 패키지 개발
정부는 완전자율운항선박 상용화를 위해 항해·기관·원격운용·검증 실증으로 구성된 4대 기술축을 동시에 추진한다.
먼저 AI 자율항해 시스템에는 주변 물체·기상상황을 실시간 분석하고, 최적 항로·조타를 자율 결정하는 통합 운항 플랫폼을 개발한다. 레이더·센서·통신장비 등 핵심 기자재 국산화도 포함된다.
또 기관 자동화·무인 유지보수와 관련해서는 엔진·발전 설비 상태를 자동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대응하는 AI 기반 시스템과 선내 점검 로봇을 개발한다.
원격운용 및 스마트항만 연계부문은 육상관제센터에서 선박의 운항·화물 작업을 통합 제어하고, 무인운항 선박과 항만 자동화 시스템을 연동한다.
마지막으로 검인증 및 실해역 실증 체계와 관련해서는 자율운항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증 기준을 마련하고, 실해역 시험을 통해 상용화 진입 장벽을 낮춘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기자재·운항·항만·검증까지 산업 전반의 연계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 글로벌 시장 주도권 경쟁 본격화
각국은 자율운항선박을 차세대 해운·조선 경쟁의 핵심 분야로 보고 있다. 노르웨이는 무인 화물선 실해역 운항 선도, 일본은 대형 선사 주도로 상용 테스트 확대, EU는 항만연계형 자동운항 프로젝트 다수 진행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LNG·컨테이너선 건조 역량을 갖춘 가운데, AI·자율운항 기술이 결합할 경우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에서 초격차 확보가 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율운항선박 시장은 2032년 1805억 달러(약 24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조선·해운 산업 구조 자체가 재편되는 전환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한국 조선기술과 AI 제조혁신이 결합할 수 있는 대표적 신성장 산업”이라며 “기술개발, 데이터 활용, 규제 개선까지 산업계 전반의 참여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선박·항만·물류를 하나의 통합 운용체계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