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럼의 핵심은 수소기술을 연구·실증 단계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산업·도시·물류·조선·철강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실천 전략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은 기조강연에서 “한국 정부가 수소법 등 제도적 기반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며 “향후 10년이 수소 생태계 확장의 골든타임”이라고 진단했다.
포럼의 첫번째 기술세션에서는 수소 생산·발전 핵심기술들이 소개됐다.
AVL의 위르겐 레히베르거 부장은 “수소 경제 확장의 병목은 비용 경쟁력이라고 진단하며, 단순 R&D가 아닌 대량 생산 및 시스템 단위 효율 개선이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고온 전해 방식인 SOEC는 이미 산업 실증에서 87% 이상 효율을 보이며, 대규모 그린수소 및 e-연료 생산의 사실상 ‘게임체인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산업용·건물용·여객선·비상전력 등 고가치 응용 분야에서 연료전지의 상용화는 “이미 기술적 진입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로이드선급 토마스 바이어 박사는 수소·암모니아 추진 선박 전환이 기술보다 국제 규제·안전 인증 체계 정비가 속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로이드선급은 연료전지 탑재 선박에 대한 가스 감지·이중배관·차단 밸브 자동화 설계 기준을 이미 정립했으며, 이는 향후 조선·항만 산업의 수소 활용을 현실화할 기반이 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수소 활용 산업의 확장 전략이 소개됐다. 아모지 우성훈 대표는 암모니아 연료가 수소 저장과 운송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단임을 강조하며 해운·발전 부문에서의 암모니아 직접 연소 및 연료전지 혼합 시스템이 급속도로 검증 중이라고 밝혔다.
에스모빌리티 김민석 대표는 연료전지를 전력망·배터리·전기차 체계를 보완하는 차세대 분산전력 플랫폼으로 정의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적용 시 연료전지는 전력 공급과 동시에 저산소 환경 유지로 화재 안전성 강화 효과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미 지게차·굴삭기·중장비용 수소 파워팩, 5~50kW급 분산전원 시스템 공급이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고도 했다.
또 포스코 최장회 부장은 한국형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HyREX는 포스코가 20년 이상 축적한 FINEX 기술을 수소 시대에 맞게 고도화한 공정이다. 포스코는 2028년 실증플랜트 상업 가동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고가의 펠릿화 공정을 생략하고 미분광을 직접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DRI 기업 대비 포스코만의 구조적 우위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패널토론은 동해안 수소 메가클러스터 구축 논의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포항(수소환원제철·연료전지), 울산(수소 모빌리티·조선), 강원(수소 생산·저장)이 역할을 분담하는 모델로 ‘해안 기반 통합형 수소 산업벨트’가 제안됐다.
전문가들은 “수소는 개별 산업이 아니라, 도시·산단·항만·철강·조선을 통합하는 산업 플랫폼”이라며 이번 포럼을 “기술 → 산업 → 시장 → 지역 생태계”를 잇는 실질적 정책 플랫폼이라고 평가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