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6일 총 11조7078억원 규모의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2%(7831억 원) 증가한 것으로 민생안정, 미래 성장동력, 시민안전 등 3대 핵심 분야에 재원을 집중 투입한다.
대구시는 지방세 감소와 경직성 경비 증가로 4년 연속 세입 감소(410억 원↓)를 겪으며 재정자립도 6위(38.2%), 재정자주도 7위(54.3%) 등을 기록하면서 특·광역시 평균 이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5개 분야 지출구조조정(2500억 원 절감)과 신규 지방채 2000억 원 발행을 통해 재원을 확보했다.
지출구조조정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도로건설 등 사업 시기 조정(2332억 원 절감) △유사·중복사업 통폐합(91억 원 절감) △저성과 사업 감액 또는 폐지(14억 원 절감) △행사·홍보성 경비 10% 감액(32억 원 절감) △공공부문 경비절감(41억 원 절감) 등이다.
대구시는 민생안정·미래성장동력·시민안전 등 3대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생안정 및 복지 분야에선 △기초연금(1조 3056억 원) △노인일자리(2242억 원) △생계급여(6723억 원) 등 복지예산 5조 7501억 원 편성(전체 예산의 49.1%)했다. 또 청년월세 지원(181억 원), 아동수당(1392억 원) 등을 통해 생애주기별 복지를 강화한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 분야에는 △AI·로봇·미래모빌리티·첨단의료 등 미래산업 육성(3645억 원) △지역거점 AX 혁신 기술개발(85억 원) △AI로봇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 지원(38억 원) 등으로 첨단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시민안전·재난대응에는 △자연재해 대비(113억 원) △소방헬기 교체(60억 원) △노후 아파트 화재 연기감지기 지원(4억 원) 등을 통해 안전 인프라 확충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밖에 △대구권 광역철도(30억 원) △성서자원회수시설 개체공사(248억 원) 등 교통·환경 인프라에 2조 3655억 원을 편성하고 △K-아트 청년창작자 지원(18억 원) △팔공산 수국정원 조성(10억 원) 등을 통해 글로벌 문화도시 조성에 나선다.
김정기 대구시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지방세 감소와 경직성 경비 증가로 재정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예산안은 제321회 시의회 정례회 심의를 거쳐 12월 15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