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후보 선출 준비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달 말까지 후보 자격에 대한 심사 규정을 정비하고, 본격적인 공천 룰 마련에 들어갈 계획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경선 컷오프는 되도록 안 하려는 게 당의 방침이자 정청래 대표의 생각”이라며 “공직 후보자 심사를 거쳐 올라온 이들에 대해서는 조별 리그전이나, 어떤 형식으로든 경선을 할 수 있게 하는 게 기본 원칙”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 대표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는 ‘노컷 경선’을 통해 당내 경쟁을 활성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민주당은 경선 부적격자를 가리기 위한 기준과 일부 부적격자에 대한 정밀 심사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 △적격 △예외 없는 부적격 △예외가 있는 부적격 등으로 나누고 그 중 음주운전·성범죄·투기 목적 다주택자 등은 예외 없는 부적격자로 분류해 원전 배제(컷오프) 한다는 방침이다. 과거 세 번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사람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참작이 가능한 부적격자의 경우 공직 후보자 심사에는 참여하되, 일정 부분 감산점을 주는 방식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후보 경선에서 권리당원의 표를 이전보다 더 많이 반영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정 대표가 ‘당원 주권 정당’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광역·기초의원 (공천의) 경우 앞으로 당원 결정권을 훨씬 많이 주겠다”며 “실제로 지금도 기초·광역 의원은 거의 다 권리당원 경선을 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나경원 의원을 단장으로 한 지방선거 총괄기획단을 출범시키고,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 윤곽을 만드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지방선거가 7개월 남았지만 총선·대선에 이어 또 다시 패배가 재현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총괄기획단 관계자는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열린 공천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늦어도 12월 말까지 공천 룰(규정)과 시스템을 제시해 공정한 공천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획단은 경쟁력 있는 후보 선출을 위해 경선을 원칙으로 전략공천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야당 강세지역인 대구시장,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서울시장, 부산시장 등도 후보 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 현재 기획단의 기조다.
기획단은 또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도입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컨벤션 효과’를 극대화해 후보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맥락에서 기획단은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도 초점을 맞출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위해 정치 신인, 청년, 여성에게 주는 가점과 현역 의원에게 주는 감점 비율을 놓고 세밀한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높은 가점은 신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불공정성 지적이 나올 수 있다는 점 등을 두루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장동혁 대표 취임 후 전면에서 대여 투쟁에 나섰던 기존 당협위원장과 당원들에 대한 공천 우대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기획단의 공천 시스템 논의는 당 지도부 논의를 통해 추후 확정된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