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민의힘 “장바구니 물가폭등, 李 정부 포퓰리즘 탓”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5-10-05 13:32 게재일 2025-10-06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명절 수요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지속됐다./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추석 명절 물가 폭등 원인에 이재명 정부가 있다고 직격했다.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폭등 주범으로 기업 불공정거래를 지목한 가운데 “현재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은 민생쿠폰 등으로 돈을 뿌린 포퓰리즘 정책 때문”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것이다.

국민의힘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5일 논평을 통해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빵 6.5%, 커피 15.6%, 축산물 5.4%, 수산물 6.4% 등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했는데 이재명 정부는 또 남 탓인가”라고 지적했다.

최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조선시대 매점매석이 사형이었다는 말로 기업을 겁주기도 했다. 시장경제를 처벌로 통제하려는 발상이 바로 사형경제학”이라면서 “전문가들조차 물가만 오르고 끝날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정부는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최근 이 대통령은 바나나 수출 가격이 왜 나라마다 다르냐며 국제 가격 차이를 문제 삼았지만 이는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며 “시장가격은 환율, 물류비, 수요와 공급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 이런 기초 상식조차 부정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최 대변인은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정부는 더 이상 남 탓과 포퓰리즘식 돈 뿌리기 정책을 멈추고 서민의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