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5~17세기 동남아시아는 독자적 문화·경제 체계 가진 역동적 공간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10-09 15:52 게재일 2025-10-10 14면
스크랩버튼
역사의 자산으로서 ‘교역의 시대’ 재평가
서구 제국주의에 '짓밟힌 역사' 지적하며
현재의 빈곤, 지역탓으로 돌리는 시각 비판
Second alt text
글항아리 펴냄, 앤서니 리드 지음, 인문

‘대항해시대’를 논할 때 흔히 유럽 중심의 시각에 가려졌던 동남아시아의 진정한 모습을 복원하는 책 ‘대항해시대의 동남아시아’(글항아리)가 출간됐다. 


20년 넘게 동남아시아를 연구한 석학인 저자 앤서니 리드(UCLA 동남아시아센터 초대 소장)는 식민주의와 민족주의 사관의 왜곡을 넘어 15~17세기 동남아시아가 단순한 교역의 경유지가 아닌 독자적 문화와 경제 체계를 가진 역동적 공간이었음을 밝힌다. 그는 ‘대항해시대’ 대신 ‘교역의 시대’라는 용어를 제안하며, 이 지역이 세계사와 상호작용하며 구축한 통합적 역사를 재구성한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문화적으로 독특한 정체성을 지닌다.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해안선, 울창한 열대림, 풍부한 수자원은 이 지역의 삶의 기반을 이뤘다. 육로 접근은 어려웠으나 해양 교통은 발달해, 계절풍을 활용한 안전한 항해가 가능했다. 이러한 환경은 지역 내 교역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말레이어는 당시 영어처럼 무역 언어로 사용됐으며, 자바인·중국인·인도인 등 다양한 민족이 참여했다.


문화적 공통점도 뚜렷하다. 대다수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족에서 비롯됐으며, 쌀·생선·야자를 주식으로 삼고 나무 기둥 위에 지어진 주상 가옥에서 생활했다. 특히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두드러졌는데, 결혼과 이혼이 자유로웠고 처가살이가 일반적이었다. 교역 중심 국가에선 여성 통치자도 등장했으며, 유럽 기록에 따르면 ‘남성들이 여성의 성적 만족을 위해 성기에 방울을 달 정도’로 남녀 관계가 평등했다. 이는 유교적 억압을 받은 동아시아 여성과는 대조적이다.


15~17세기 동남아시아는 세계 교역의 중심지였다. 말루쿠산 향료, 후추 등 고급 자원을 실은 중국·유럽 상선의 유입으로 번영을 누렸다. 1620년대 유럽의 연간 향료 수입량은 정향 300톤, 육두구 200톤에 달했고, 이윤율은 100%를 넘었다. 현지 상인들은 거대한 정크선을 운용하며 해상 무역을 주도했고, 도시들은 활기를 띠었다. 버마의 한 도시는 ‘열 명이 나란히 걸을 수 있을 만큼 넓은 도로’를 갖췄으며, 금화·엽전 형태의 ‘피치스’ 등 다양한 화폐가 유통되었다. 상업 계층인 ‘오랑카야’는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토착 귀족과 경쟁했다.


그러나 17세기 말 이 화려한 시대는 갑작스럽게 종말을 맞는다.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독점, 기후 변화로 인한 작황 악화, 글로벌 경제 위기 등이 겹치며 교역은 쇠퇴했다. 동남아시아는 ‘훔치는 것 외에는 생계 수단이 없는’ 빈곤 지역으로 전락했고, 서구 열강의 착취 구조 속에서 저발전의 낙인이 찍혔다.


서구 기록은 종종 동남아시아를 ‘미개한 땅’으로 묘사했지만, 이는 식민주의적 편견에 불과하다. 실제로 이 지역은 창조적 적응력과 개방성으로 변화를 수용했다. 예를 들어, 말레이어는 무역 언어로 확산되며 다문화 교류의 매개체가 됐고, 현지 상인들은 유럽 기술과 자원을 활용해 이익을 극대화했다.
그러나 서구 종교(이슬람교·기독교)의 유입은 여성 문화를 파괴했다. 남성 중심의 경전 종교가 정착되며 여성은 공적 영역에서 배제됐고, ‘얼굴을 완전히 가리는’ 복식으로 전환됐다. 이는 오늘날 ‘동남아시아 여성 인권이 낮았던 것을 서구가 개선시켰다’는 잘못된 인식의 뿌리가 됐다.


리드는 이 책을 통해 동남아시아의 ‘실패한 과거’가 아닌 역사의 자산으로서 교역의 시대를 재평가한다. 그는 ‘동남아시아인들은 변화에 창조적으로 대응하며 번영을 일궜다’고 강조한다. 다만 그 성과가 서구 제국주의에 의해 짓밟힌 점을 지적하며, 현재의 빈곤을 지역 탓으로 돌리는 시각을 비판한다.


1700여 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책은 20년 넘는 연구를 집약했다. 저자는 프랑스어·영어·말레이어 자료를 섭렵하며 파편화된 사료를 통합했고, 국립국어원의 표기 기준이 없는 지명과 용어는 현지 연구자의 자문을 받아 번역했다.  이처럼 철저한 고증은 동남아시아의 복합적 실체를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을 받은 학술서로, 발간된 지 40년이 지났지만 여전한 명성을 자랑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