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글로컬대학30’ 사업 결과에서 대구·경북 지역을 대표하는 양대 사학인 영남대와 계명대가 끝내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반면, 부산에서는 동아대와 경성대가 나란히 선정됐다.
올해는 사업 3차년도이자 마지막 지정으로 새로 선정된 대학은 9곳(7개 모델)에 불과하다.
대구·경북에서는 지난 5월 계명대와 금오공대가 예비지정을 받으며 기대를 모았지만 최종 관문인 본 지정에는 실패했다. 지역에서만 무려 13개 대학이 도전장을 냈으나 결과는 전원 탈락이었다. 현재까지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된 대구경북 지역 대학은 경북대·대구보건대(대구), 국립경북대·대구한의대·포항공과대·한동대(경북) 등 6곳이다.
지역 교육계는 이미 결과를 예견한 듯했다. “대구경북은 기선정 대학이 많아 올해 추가 지정은 어렵다”는 말이 선정 발표 전부터 돌았던 것. 실제 결과 역시 소문과 다르지 않았다. 한 교육 관계자는 “교육부가 대학 제안서를 통해 역량을 면밀히 평가하기보다 지역 안배 논리에 무게를 실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꼬집었다.
영남대와 계명대는 그간 여러 방식으로 도전했지만 번번이 좌절했다.
영남대는 2023년 1차 선정 당시 영남이공대와 연합해 도전했으나 탈락했고 지난해에는 금오공대와 손잡았지만 역시 고배를 마셨다. 올해는 아예 지원조차 하지 않았다.
계명대 역시 첫해 계명문화대와 함께 나섰다가 탈락한 뒤 지난해 다시 도전했지만 실패했고 올해는 단독 지원으로 전략을 바꿨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지역 대학들은 같은 재단 소속 대학끼리 연합하면 불리하다는 분석에 따라 파트너를 바꿔 도전했지만 정작 타 지역에서는 원광대·원광보건대, 조선대·조선간호대 등 같은 재단이 동시에 선정됐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 것 아니냐”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지역의 한 대학 관계자는 “지정 기준이 일관되지 않아 혼란이 크다”며 “학교마다 공들여 전략을 바꿨지만 결과적으로는 지역 균형이라는 외부 논리에 묻혔다”고 말했다.
올해 최종 지정 규모가 줄어든 점도 문제로 꼽힌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0개 모델이 선정됐지만 올해는 7개에 그쳤다. 애초 ‘글로컬대학30’이라는 이름처럼 3년간 총 30개교를 뽑겠다던 계획은 흐트러졌다. 대학가에서는 “정부 스스로 약속한 로드맵이 무너졌다”는 불만도 나온다.
현재 교육부는 이의신청 절차를 운영 중이지만, 실제 목소리를 낼 대학은 거의 없는 분위기다. 한 교육 관계자는 “정부 지원 사업에서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해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