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국 행정 전산망이 마비되자, 경주시가 긴급 대응에 나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주민등록, 복지, 건축 인허가 등 주요 업무가 중단되자 수기 접수와 대체 서비스를 즉시 가동했다.
지난 26일 오후 발생한 화재는 27일 오후에야 완전히 진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정부는 위기 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번 사태로 주민등록·정부24 등 주요 전산시스템이 전국적으로 멈춰 섰다.
경주에서도 주민등록 전입·정정 신고, 주민등록증 발급 등의 업무가 중단되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수기 접수로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건축 행정 시스템 ‘세움터’와 산지전용 정보시스템 역시 작동 불능 상태가 되어 관련 인허가 민원은 서면으로 접수하고 있다.
복지 분야에서는 전자바우처 결제 및 아이돌봄 서비스에서 오류가 발생함에 따라 수기 기록과 가상계좌 입금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28일 오전 복구된 농림 사업 정보시스템은 농업 보조금 신청 마감일(30일)이 임박해 시는 농식품부에 기한 연장을 공식 요청했다.
언론 홍보에 사용되는 공직자통합 메일 시스템마저 멈추자, 홍보담당관실은 네이버 등 외부 이메일 계정을 활용해 보도자료를 긴급 발송하는 등 소통 창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주시는 28일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중단된 서비스에 대한 대체 수단 마련과 민원 응대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전국적인 전산 장애 상황이지만 시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신속한 복구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