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올해도 유동 인구가 많은 전국 도로변과 교차로가 ‘정치 현수막’ 몸살을 앓고 있다. 현수막은 각 정당과 국회의원,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염두에 둔 예비후보들의 명의가 대부분이다. 특히 지방선거가 8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당이나 예비후보들이 경쟁적으로 내걸어, 하루가 다르게 거리가 현수막으로 도배되고 있다.
포항시를 예로 들면, 북구 육거리와 죽도시장 네거리, 남구 효자네거리를 중심으로 시가지 구석구석이 현수막들로 빼곡히 들어차 교통신호등이 잘 안보일 정도다. 정치권에 따르면, 포항시장 예비후보들의 경우 10여 명이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최소 100장, 많게는 500장 이상을 거리에 내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다 각 정당과 국회의원의 현수막까지 무차별적으로 내걸려 그야말로 공해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지방선거 예비후보들이 내건 현수막 내용은 주로 추석 인사 글귀가 많지만, 정당이나 국회의원 현수막은 대부분 정부나 상대 당을 비난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당의 정책과 정치 현안을 알리라고 허용해 준 현수막인데 정작 내용이나 문구는 원색적인 비난과 조롱이 주를 이룬다. 정치 발전은커녕 오히려 정치 혐오만 부채질하고 있는 것이다.
현행 법규에는 정당과 국회의원이 가로변에 현수막을 게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어 단속이 쉽지 않다. 정당 명칭, 기간 등만 표시하면 단속이 면책된다. 다만, 지방선거 예비후보자들은 일반 시민이나 소상공인처럼 현수막을 게시하려면 시청의 검인 절차를 밟고 제한된 장소에만 설치해야 한다.
현수막이 지정된 곳이 아닌 도로변 아무 데나 내걸리다 보니 안전사고도 속출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정치 현수막이 시야를 가려 자동차가 아이를 치어 숨지게 하는 사고도 있었다. 그리고 현수막 재질은 합성섬유여서 재활용이 쉽지 않다. 사용 후에는 결국 소각 처리할 수밖에 없어 엄청난 유해 물질이 배출된다. 시민 생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피해만 주는 길거리 현수막 게시를 정치인 스스로 자제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