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번 화재로 국가정보시스템이 마비돼서야

등록일 2025-09-28 17:19 게재일 2025-09-29 19면
스크랩버튼

26일 밤 일어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의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이 무더기로 마비되는 일이 벌어졌다.

마침 화재가 난 다음 날부터 이틀간 휴무일이어서 국가적 대란은 피한듯했지만 완전한 복구 시점은 장담하기가 아직 이르다. 정부는 주말 동안 긴급 인력을 투입, 복구 작업에 나섰고 일부는 27일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오늘부터는 대부분 정상 가동을 계획하고 있지만 시스템이 정상 작동될지는 여전히 불안한 상태다.

대전 국정자원에는 총 647개의 시스템이 있으나 이번에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은 96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정부는 밝혔다. 대전 국립자원의 시스템은 국가정보 관리의 핵심 시설로 꼽히는 곳이다.

화재가 나자 정부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모든 시스템을 일시 정지하면서 전국 곳곳에서는 큰 혼란이 빚어졌다.

온라인 민원 발급 사이트인 정부24는 물론 우체국의 금융기능도 완전 정지됐다. 우체국을 이용한 입출금, 이체, ATM기 이용 등이 중단되면서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을 입혔다.

또 정부 발급이 필요한 부동산 거래는 상당수가 제때 진행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체국 시스템은 직접 피해를 입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추석을 앞둔 가운데 빚어진 전산망 사고라 우편 택배 등 물류대란에 영향을 미칠까 봐 우려도 된다.

경찰이 화재 사고 원인 파악 등을 위해 수사 착수했다고 한다. 정밀한 조사로 화재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반드시 수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가 클라우드 환경 이중화 작업이 미비했던 것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한곳에서 재난 사고가 나면 다른 한곳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3년 전 카카오 먹통 사고 후 카카오는 재난 복구시스템을 데이터센터를 3개로 연동화하는 삼중화 시스템 구축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시스템의 분화작업과 이중화 구조 시스템 구축에 나서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안일한 행정이 반복되는 일이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전영숙의 茶 한잔의 생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