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천년 고도 경주, APEC으로 세계를 품다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5-09-28 14:20 게재일 2025-09-29 10면
스크랩버튼
경주, APEC 통해 글로벌 도시로 비상
세계가 주목하는 경주, APEC으로 미래를 연다
주낙영 경주시장이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간부회의에서 경주의 비전을 설명하는 모습. /경주시 제공

2025년 10월,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 21개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다. 

‘천년 고도’ 경주는 단순한 역사 도시를 넘어, 국제회의 도시로 발돋움하며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5만 시민의 염원을 담아 유치한 2025 APEC 정상회의는 상징적 성과이자, 경주의 미래 전략을 선보이는 무대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시민 모두의 힘으로 한 치의 부족함 없는 회의를 치르고, APEC 레거시를 기반으로 글로벌 도시 위상을 공고히 다지겠다”라고 밝혔다.

2025 APEC 정상회의 주 회의장으로 사용될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HICO)의 전경. /경주시 제공

경주는 이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도시로 자리 잡았다. 

연간 4700만 명 이상이 찾는 황리단길을 비롯해 신농업 혁신타운, 어촌뉴딜, 도시재생사업 등 주요 현안이 시민 삶의 질과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했다. 한국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에서 5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고, 국민권익위 청렴도 평가에서도 3년 연속 상위권을 차지하는 등 행정 신뢰도 향상 역시 눈에 띈다.

2025 시민 만족도 그래프 만족도 조사 결과. /경주시 제공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지난 8월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8.6%가 시정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발전 가능성 긍정 응답은 83.4%였다. 

분야별로는 문화·관광·체육 84.3%, 지역개발 80.1%, 경제·산업 74.8% 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민들은 신라 왕경 핵심 유적 복원, 동천~황성 천년 숲길 조성, 복합문화도서관 건립, SMR 국가산단 조성 등 향후 기대 사업을 직접 꼽았다.
 
APEC 정상회의에 대한 시민 인식은 더욱더 긍정적이다. 

유치 만족도 92.1%, 경주 발전 기여 기대 92.4%로, 국제행사를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도시 성장의 동력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민이 바라는 미래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52.8%), 역사·문화·관광 인프라 확충(23.1%), 보건·복지 강화(7.4%), 교통망 기반 혁신도시 건설(6.4%)로 구체화한다. 청년 창업 지원, 기업 투자유치, 전통시장·소상공인 지원, 관광 인프라 확충 등이 주요 과제로 꼽혔다.
 
경주는 APEC 이후의 전략도 명확하다. 

‘포스트 APEC 추진’을 위해 APEC 기념공원과 문화의 전당을 조성하고, 보문관광단지 리노베이션과 신라 역사 문화 대공원을 통해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을 만든다.

신라 천년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첨성대 일원에서 꽃밭을 지나 운행 중인 관광 전기차 모습. /경주시 제공

 ‘대한민국 최고의 문화관광 도시’로서 신라 왕경 핵심 유적 14곳 복원, 문무대왕 해양역사관 건립, 경주 읍성 정비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세계 100대 관광도시 진입을 목표로 반려동물 테마파크, 워케이션 빌리지 등 새로운 관광 인프라를 구축한다. 차세대 원전·미래 차 산업 혁신 거점 조성, 좋은 일자리 창출, 중소상공인 지원, 젊은이가 살고 싶은 도시 환경 조성 등도 핵심 과제로 포함된다.
 
APEC은 세계 담론을 비추는 무대였다. 

‘더 크게, 더 빨리’에서 ‘더 함께, 더 오래’로 변화한 세계의 흐름 속, 2025년 경주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을 주제로 지속 가능 성장을 논의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시민이 체감하는 정책과 소통으로 중단 없는 발전을 실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다음 달 말, 경주는 단순한 회의장이 아니라 인류 협력과 번영의 새로운 장이 펼쳐질 무대가 될 전망이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