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Homage to 박동준-김호득 展’ 한국 동양화 거장의 작품, 10월 17일까지 대구 갤러리분도서 선봬 “수묵화의 전통적 미학을 해체하고 재해석하는 독보적 화풍 주목”
대구 갤러리 분도(중구 대봉동)에서 한국 동양화의 거장 김호득(75) 화백의 개인전 ‘Hommage to 박동준-김호득’이 열리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전시는 작고한 패션디자이너 박동준(1951~2019) 선생을 기리며 그와 특별한 인연을 맺은 작가들을 초대하는 기획전의 일환이다.
김호득 화백은 수묵화의 전통적 미학을 해체하고 재해석하는 독보적 화풍으로 주목받아왔다. 그의 예술은 단순한 필선의 역동성을 넘어, 생명의 에너지를 공간에 투영하는 ‘기운생동’이 핵심이다.
김 화백은 ‘수묵화의 전통을 혁신적이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국내외에서 주목받아 왔다. 먹과 한지의 물성을 실험하며 공간 자체를 예술로 변용시키는 그의 설치 작업은 직관과 분석을 결합한 독창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받는다.
2009년 영천 시안미술관에서 처음 선보인 ‘먹물 수조 작업’이 대표적인 예다. 천장에서 서서히 내려오는 한지들이 거대한 먹물 수면에 그림자를 드리우면, 극대화된 수직적 깊이에 관람자는 숭고한 몰입의 세계로 빠져든다. 이 작업은 이후 금호미술관, 덕수궁미술관, 대구미술관 등 국내외 유수 기관에서 재해석돼 전시되며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12년 제1회 강정대구현대미술제에서는 야외 공간에 설치된 흰 광목천이 도랑을 가로지르며 바람에 나부꼈다. 동양화의 핵심 요소인 ‘여백’을 강조하는 동시에, 강물·흙·바람 등 자연 요소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축적되는 과정을 기록하는 설치 작업으로 주목받았다.
그가 ‘겹’과 ‘사이’ 연작에서 선보이는 사선 필치의 리듬감은 우주적 순환을 닮았다. 이번 전시의 백미는 ‘폭포’ 연작의 진화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이 시리즈는 초기에는 4m가 넘는 화면에 광폭한 필치로 생명의 분출을 표현했으나, 2025년 신작에서는 단순화된 몇 개의 획만으로 폭포의 본질을 포착한다. 광목천 위에 툭 던져진 획들은 오히려 내면의 성찰을 강조하며, 격렬한 에너지 대신 고요한 사색의 흔적을 남긴다.
1950년 대구에서 태어난 김 화백은 서울예술고를 거쳐 서울대 미술대학을 졸업하며 화업의 길을 걸었다. 제15회 이중섭 미술상, 제4회 김수근문화상 미술상 등을 수상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등 국내 유수의 미술관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15년 영남대 교수 퇴임 후 경기도 여주로 작업실을 옮긴 이후 수차례 투병과 외로움 속에서도 붓을 놓지 않은 결과물이 이번 전시에서 빛을 발한다.
고(故) 박동준 선생은 대구 출신의 패션디자이너이자 갤러리 분도의 창립자로, 김호득 화백과도 각별한 관계를 맺었다. 이번 전시는 박동준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Homage to 박동준’ 기획전의 여섯 번째 행사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