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와 가을 행락철을 앞두고 경주의 숙박 요금이 크게 오르면서 시민과 관광객의 부담이 늘고 있다.
경주시는 “일부 언론은 9배 폭등’이라는 자극적 보도가 나왔으나, 객실 유형 차이와 예약 플랫폼의 구조적 오류가 겹친 결과”라고 해명했다. 경주시는 또 “허위·과장된 요금 표기를 막기 위해 상시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22일 경주시에 따르면 언론에 보도된 4만3000원 객실과 64만원 객실은 각각 2인실과 8인실로 단순 비교한 것이고, 일부 예약 플랫폼에서는 요금 미입력시 최고가가 자동 노출되는 구조가 오해를 불렀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체감하는 숙박요금 인상률은 여전히 매우 높다는 것이 문제다. 경주시가 스스로 인정했듯 실제 현장에서는 요금이 평소 대비 2~3배 상승한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5만~6만원이었던 숙소가 15만원 안팎으로 오르는 사례도 확인됐다.
이에 경주시는 뒤늦게 진화에 나섰다.
시장 명의 협조문을 발송해 숙박업계에 투명한 요금 운영을 당부하고, ‘바가지요금 근절’ 현수막을 도심 곳곳에 설치했다. 또 명예공중위생감시원을 투입해 홍보와 단속을 병행할 예정이다.
다음 달에는 경북도와 소비자 단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도 진행될 예정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성수기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지만 허위·과장 표기로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행사가 임박한 상황에서 현수막과 캠페인만으로 요금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황성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