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포기’ 전제 조건 달아 대통령실 “평화적 발전 추진” 두 정상 깜짝 회동 여부 관심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1일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버리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좌할 수 있다”는 의향을 내비치면서, 다음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두 정상 간 깜짝 회동이 성사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나는 아직도 개인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포기한다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과정에서 “김정은과 나는 매우 좋은 관계를 가졌고, 여전히 그렇다”며 “김정은과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고도 밝혔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깜짝회동을 할 수 있을 지에 시선이 쏠린다. 김 위원장이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회동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이 ‘비핵화 포기’를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내걸고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만 보면 북미 간 대화 가능성은 희박하다. 한미는 한반도 비핵화가 목표라는 점을 확고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한국이 북한과 의미 있는 대화를 위해 ‘비핵화 목표’에 대해 어느 정도 유연하게 나올 가능성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 부르며 북한이 핵무기를 가진 현실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내비친 바 있기 때문에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북 정상 간 접촉도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는 긴 안목을 갖고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통해 남북 간의 적대를 해소하고 평화적 관계로의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