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수십억 들인 ‘세계유산축전’ 관객 고작 30명?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5-09-17 18:01 게재일 2025-09-18 10면
스크랩버튼
경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주최
‘팔관회’ 공연 4000석 자리 텅텅
주민 “연구기관이 축제 기획 모순”
지난 13일 팔관회 공연에서는 4000석 가운데 고작 30여 명만이 자리를 채운 모습. /독자 제공

경주시 출자·출연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주관한 ‘2025 세계유산축전’이 시민과 관광객의 기대와 달리 초라한 출발을 보였다.

지난 13일 팔관회 공연에서는 준비된 4000석 가운데 고작 30여 명만이 자리를 채워, 현장은 예상과 달리 썰렁한 풍경을 연출했다.

이번 축전은 ‘천년의 빛, 세대의 공존’을 주제로 12일부터 10월 3일까지 경주 전역에서 14개 단위 사업으로 진행된다.

경주시는 시민과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 중심 축제로 홍보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주민들은 “빈자리가 오히려 주인공처럼 보였다”며 수십억 원의 예산이 허공으로 날아간 것에 대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문제의 핵심은 주관기관과 행정의 역할이다.

학술 연구 중심의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축제를 기획·운영하는 구조는 본래 한계를 갖는다.

연구기관은 문화유산 보존과 학술 연구의 전문성을 갖지만, 대규모 축제 운영과 관객 동원, 홍보에는 취약하다. 

실제 현장에서도 안내와 편의, 홍보 등에서 빈틈이 나타나면서 준비된 좌석과 실제 관람객 수의 격차가 커졌다.

지역 문화계와 시민들은 축전 진행 방식에도 문제를 지적했다.

대부분 프로그램이 전국 공개입찰로 진행되면서 지역 소규모 업체는 배제됐고, 지역민 참여와 운영 효율성은 낮아졌다.

결국 경주 세계유산축전은 화려한 기획과 거액의 예산에도 불구하고, 준비 과정의 구조적 한계와 운영 미흡으로 시민과 관광객 참여를 충분히 끌어내지 못했다. 

이번 축제는 기획·운영 주체, 행정 역할, 지역과 시민 참여가 조화롭지 않으면, 언제든 ‘빈자리 축제’로 기록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남긴 교훈이다.

이에 대해 석장동 주민 A씨(58)는 “이번 사례는 지방자치단체와 출자·출연기관이 협력할 때, 기획 주체의 전문성과 운영 능력, 행정 지도·감독의 균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꼬집었다.

또 “연구기관이 축제를 운영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였고, 행정의 지도·감독 부재가 이를 방치했다”라고 말했다.

문화 해설사 C씨(62)도 “남산 투어, 비단벌레 전기자동차 투어 등 대부분 프로그램은 지역업체가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사업인데, 중앙 주도 방식으로 진행되며 참여율이 떨어졌다”라고 지적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관람객들의 편의를 위해 4000개의 의자를 준비하고, 하루 250여 명의 참석 예약을 받았고, 누구나 현장에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도록 했다”면서 “비가 내리는 날씨 등의 문제도 참석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 것 같다”라고 해명했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