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국 최초 농업용수 지하댐, 기후위기 대응 모델로 주목받아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5-09-17 11:27 게재일 2025-09-18 2면
스크랩버튼
유례없는 이상기후, 상주시 이안지하댐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Second alt text
이안지하댐 외부 모습.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 제공

극한 가뭄으로 식수와 농업용수가 고갈되면서 재난사태를 선포한 강원도 강릉 사태를 지켜보며 지하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육상 댐이나 저수지는 강우량에 따라 만수와 고갈이 반복돼 인위적인 통제에 한계가 있지만, 지하댐은 상대적으로 운용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지사장 이한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주시 이안지하댐은 1984년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농업용수 지하댐이다.

비록 소규모지만 장기간 축적된 노하우와 현재도 정상가동 중인 좋은 선례가 있어, 정부 차원의 표본 지정과 교육장으로서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 댐은 하천을 암반층까지 굴착한 후 콘크리트 부벽을 세워 지하수를 차단해 집수 및 공급하는 방식으로 극심한 가뭄에도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다.

총 공사비(국비) 6억1335만원으로 1981년 2월 착공해 3년 뒤인 1984년 1월에 준공했다.

현재도 안정수위 60.5m, 1일 집수량 1만7500t을 유지하며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 일대 66ha의 농경지에 충분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지하댐은 우수기에는 지표수가 자연스럽게 방류되고 갈수기에만 지하수를 활용하는 등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한기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장은 “지하댐은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우리 농업과 실생활에 혁신을 이뤄낼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지역 내에 이안지하댐과 같은 대상지를 모색하는 등 효율적인 농업용수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