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폭력·사이버폭력 증가
경북교육청이 16일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것으로 2024년 2학기부터 2025년 5월까지의 학교폭력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경북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19만812명의 조사 대상 중 16만4599명이 참여해 86.3%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참여율인 82.2%를 웃도는 수치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전체 평균 2.6%로, 전국 평균 2.5%보다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이 6.0%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은 1.7%, 고등학생은 0.7%였다.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0.8%p, 0.3%p, 0.3%p 상승한 수치다.
경북교육청은 초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학생들이 사소한 갈등이나 다툼도 학교폭력으로 인식해 응답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학교폭력 신고 건 중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심의로 이어진 비율은 중학교 45.9%, 초등학교 31.1%, 고등학교 22%로 나타나 이 같은 경향을 뒷받침한다.
피해 유형별 응답 비율(중복응답 포함)은 언어폭력이 38.8%로 가장 많았고, 집단따돌림 15.9%, 신체폭력 14.8%, 사이버폭력 7.4%, 성폭력 6.3%, 강요 6.1%, 스토킹 5.5%, 금품갈취 5.2%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이버폭력과 성폭력의 비중은 각각 1.2%p, 0.2%p 증가하며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언어폭력은 0.7%p 감소했고, 강요와 금품갈취, 신체폭력도 소폭 감소했다.
경북교육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과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 학교폭력 예방 공모사업에 참여 중인 168개교의 수업개선사례집과, 학교폭력 예방 지원단(학예단)이 개발한 학년별 어울림 프로그램 자료를 보급할 예정이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방안을 세우고, 학교와 교육지원청,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응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