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DGIST, 2026학년도 수시 경쟁률 27.85대 1⋯3년 연속 이공계 최고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5-09-15 15:13 게재일 2025-09-16 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DGIST 홍보 사진./DGIST 제공

DGIST가 2026학년도 학부 수시모집에서 경쟁률 27.85대 1을 기록하며, 이공계 특성화대학 중 3년 연속 최고 경쟁률을 달성했다. 222명 모집에 6182명이 지원해 지난해(23.3대 1) 대비 경쟁률이 19.5% 증가했으며, 지원자 수도 전년 대비 23.4% 늘었다.  

전형별로는 고른기회전형이 45.9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일반전형 기초학부도 33.8대 1로 많은 지원자가 몰렸다. 

과학인재전형(23.7대 1), 학교장추천전형 기초학부(21.23대 1)가 뒤를 이었다. 올해 신설된 학교장추천전형 반도체공학과는 6.08대 1의 경쟁률로 안정적인 첫발을 뗐다.  

지역별 지원 현황에서는 수도권 지원자가 35.5%로 가장 많았고, 대구·경북(17.4%), 부산·울산·경남(16.6%), 중부권(18.2%) 등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했다. 

호남·제주(9.4%), 강원(2.0%), 해외 지원자(56명, 0.9%)도 포함됐다. 특히 일반고 출신 비율이 73.2%로 전년 대비 증가하며, DGIST가 특정 학교 유형에 치우치지 않는 대중적 선택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DGIST의 경쟁률 상승 배경에는 모집인원 조정, 학교장추천전형 반도체공학과 신설, 교사추천서 요건 완화, 과학인재전형 평가 방식 개편 등 제도 개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김소희 DGIST 입학·학생처장은 “의대 선호와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이라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전국적 관심을 얻은 것은 교육·연구 경쟁력의 증거”라며 “지방 소재 한계를 넘어 융복합 교육으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수시모집 결과는 DGIST가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며, 지역 간 균형 발전과 교육 다양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종 합격자는 12월 6일 발표될 예정이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