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에너지 정책 또 바뀌나···TK원전산업 타격

등록일 2025-09-14 17:01 게재일 2025-09-15 19면
스크랩버튼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지금 원전을 지을 곳은 지으려다 만 딱 한 군데 있다. 거기도 지어서 실제 가동하려면 15년이 걸린다”면서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했다. 그는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해서도 “기술 개발이 안 됐다”고 평가했다.

원전 업계에서는 현 정부가 사실상 ‘탈원전’으로 유턴 선언을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22년 대선 때도 기존 원전은 계속 가동하되 신규 원전 건설은 하지 않겠다고 공약했었다.

이 대통령의 이날 발언에 대해 가장 충격을 받은 곳은 대구·경북(TK)이다. 그동안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추진해왔던 원자력발전소 건설이나 SMR 산업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TK지역에서는 이 대통령이 ‘감(减)원전’ 대상으로 지목한 ‘딱 한군데’를 영덕 천지원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지원전 1·2호기는 지난 2012년 9월 건설계획이 확정되면서 한수원이 부지매입(영덕읍 석리 일대 18%가량)을 추진하던 중 문재인 정부 때인 지난 2021년 신규 원전건설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중단됐다. 그러다가 지난 3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이 신규 대형 원전 2기, SMR 1기 건설을 위한 부지 선정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혀 다시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 유력 후보지로 주목받았다.

SMR 건설은 대구·경북 모두 전력 확보를 위해 공들이고 있는 사업이다. 대구시는 홍준표 시장 재직 당시 TK신공항 인근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SMR 1기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고, 경북도는 이철우 도지사 취임 직후부터 한수원 본사가 있는 경주시를 SMR 연구·개발의 전초기지로 만드는 작업을 한창 진행 중이다.

AI(인공지능) 경쟁시대에 원자력발전소나 SMR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필수적인 국가기반산업이다. 최근 세계 주요국이 원전산업 확대정책을 펴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물론 정권에 따라 국가 에너지 정책이 보완될 수는 있지만, 정치이념이 다르다고 해서 원전건설 계획을 뿌리째 흔들어선 안 된다.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