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환경과 경제의 상생’ 위한 신규 시책 발굴 세미나 개최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12 15:12 게재일 2025-09-13
스크랩버튼
탄소중립·순환경제 실현 위한 22개 과제 발표···지역 경쟁력 강화 기대
경북도가 12일 개최한  ‘2025년 기후환경정책 세미나’ 참석자들이 행사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12일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주제로 기후환경국 직원 및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규 시책 발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규제와 국내 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 차원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최근 타결된 한미 관세협정, 그리고 국내 최초로 ‘기후’를 명시한 전담 부처 신설 등 환경·경제 정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경북도의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자 기획됐다.

이 자리에서 경북도는 이런 변화가 규제 차원을 넘어 지역 산업의 생존과 경쟁력에 직결된다는 인식 아래,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발굴에 집중했다. 또한, 이번에 발굴된 과제들을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 보완한 뒤, 국정과제와 연계해 중앙부처 및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세미나에서는 두 차례의 전문가 특강이 진행됐다. 먼저 강연자로 나선 서정수 계명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탄소중립은 이제 통상 전략의 핵심 요소”라며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탄소 무역장벽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으로 탄소배출 정보의 투명한 공개, 친환경 인증제도 도입,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안했다.

이어진 강연에서는 이수출 경북대 교수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의 최신 동향과 산업 전망을 소개하면서 “CCU 기술은 단순한 환경기술을 넘어 미래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이라고 경북 지역의 산업 구조에 맞춘 기술 적용 방안과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경북도는 사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발굴한 22개의 신규 과제를 이날 공개했다. 주요 과제로는 전기·수소버스 확대를 위한 ‘K-e 버스 플러스 프로젝트’, 탄소 흡수원 확보를 위한 ‘숨 쉬는 대나무숲 조성’,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탄소를 포집하는 ‘소각장 CCUS 시설 설치’, 알루미늄 캔의 완전 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Can To Can 프로젝트’, 물 관련 기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물산업 미래인재·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스마트 정수 시스템을 도입하는 ‘지방상수도 AI 정수장’, 물 자원 확보 및 기후재난 대응력 강화를 위한 ‘지하수 저류댐 설치사업’, 주민 참여형 하천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자율 안전하천마을 조성’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기후재난 대응 드론 시스템, 탄소중립 농업단지 조성, 폐기물 열분해 기술 실증사업 등 다양한 기술 기반 과제가 포함돼 기술혁신을 통해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를 실현하고 빈틈없는 기후재난 안전망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경곤 경북도 기후환경국장은 “기후 대응과 탄소중립은 이제 지역 경쟁력의 핵심 지표”라며 “환경과 경제가 상호 모순되지 않고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