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부분열 위기가 일단 봉합되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과의 특검법 합의를 번복하는 과정에서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의 ‘투톱’ 갈등이 드러나며 논란에 휩싸였지만 정 대표의 봉합 시도, 김 원내대표의 추가 확전 경계 등 노력에 일단락된 양상이다. 이재명 대통령 임기 초 집권 여당의 분열이 국정 운영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여권 전반의 공통된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번 논란으로 불거진 문제는 남아 있다.
정 대표는 12일 당 단합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통해 갈등을 봉합하려는 노력을 보여줬다. 정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우여곡절 끝에 전날 사실상 원안대로 특검법 개정안을 처리한 것과 관련해 “결국 역사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흘러간다”며 “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상대방과의 차이보다 크겠느냐”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이자 동지”라고 언급하면서 ‘원팀’이란 점을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도 추가 확전은 피하는 모습이다. 전날까지 보인 갈등 양상으로 봤을 때 김 원내대표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다. 김 원내대표는 전날 오후 정 대표가 주재한 비공개 최고위에 불참하고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하라”며 공개적으로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날은 정 대표 옆자리에 앉았고, 공개 모두발언에서도 특검법 합의 번복 사태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은 채 미국에서의 한국인 구금 사태 등 현안만 거론했다.
친명계에서도 원내 지도부가 대통령의 협치 주문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생긴 ‘기술적’ 문제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일부 강성 지지층이 요구하는 김 원내대표 사퇴 등이 필요한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당내 최다선인 6선의 조정식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정 대표와 김 원내대표가) 소통은 있었다고 보고, 이후 나타난 여론 동향 등을 감안해 보완하는 게 좋겠다는 방향에서 정리가 된 것”이라며 “일부는 보완하고, 일부는 여야 합의를 그대로 살리면서 잘 정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정 대표가 단합을 강조하고 김 원내대표도 추가 행동을 자제하면서 투톱 간 갈등이 일단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두 사람 갈등이 여권 진영 전반에 큰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공감대를 샀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 이달 말 처리할 정부조직법 개편안을 포함해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서 여당이 추진해야 할 개혁 입법이 적지 않기에 민주당 지도부 간 균열이 심해질 경우 국정 동력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최악은 피했으나 냉랭한 분위기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원내대표 측이 정 대표가 원내 사안에 월권한다는 인식을 가진 상황에서 이번 충돌 사태가 불거졌다는 점, 당내에서 김 원내대표의 대야 협상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오고 있다는 점 등에서다.
김 원내대표는 당내 협의를 거쳐 국민의힘과 협상을 했다는 입장인데 이에 대한 당 지지층의 반발은 예상보다 거셌다. 특히 정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그렇게까지는 몰랐다’며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는 듯한 상황에 감정이 상한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김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가 전날 정 대표 측의 저녁 자리 제안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김 원내대표의 협상 능력과 리더십에 대한 문제제기도 계속되고 있는 형국이다. 김 원내대표가 10일 특검법 수정을 합의한 당일 공개적으로 이를 문제 삼은 추미애 의원(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이날도 페이스북에서 김 원내대표를 겨냥해 “법사위 사전 보고 동의 논란은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가 전날 ‘지도부, 법사위 등과 충분히 협의했다’고 말한 것에 대해 반박한 셈이다.
이언주 최고위원도 라디오를 통해 김 원내대표가 국가정보원 인사처장 출신인 점을 언급하며 “(대야 협상에서) 거절하기 어려울 때는 지도부나 의원들 핑계를 대든 해서 시간을 끄는 방법도 있다”고 말하면서 “그런데 그분이 국정원 출신이라 굉장히 스트릭트(strict·엄격한)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