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당장 원전 지어도 15년 걸리고 SMR 기술 개발 아직 안된 상태 풍력·태양광 발전 1~2년이면 돼 재생에너지 확대가 현실적 대안”
영덕 천지원전 1·2호기 건설 재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또 대구·경북(TK) 지역에 건설될 것으로 예상됐던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건설도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원전 건설과 가동은 최소 15년이 걸려 재생에너지로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지금 원전을 지을 곳은 지으려다 만 딱 한 군데 있다. 거기도 지어서 실제 가동하려면 15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지역 정가에서는 영덕 천지원전 건설을 지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금 소형모듈원자로(SMR)는 기술 개발이 아직 안 됐다”며 “원자력 발전소를 짓는 데 15년이 걸리고 지을 데도 없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전은 지금 당장 시작해도 10년은 돼야 지을 둥 말 둥인데,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은 1~2년이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센터 등으로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은 재생에너지”라며 “풍력과 태양광 등 이러한 재생에너지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대대적으로 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가능한 부지가 있고 안전성이 확보되면 하겠지만 (원전을 지어서 당장 필요한 전력량을 충당하는 건)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며 “(발전량이) 수십기가(G)가 필요하고 (그러려면) 원전을 30개 넘게 지어야 하는데 어디에다 지을 거냐. 결국 재생에너지로 갈 수밖에 없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도 그 얘기를 한 것”이라고 했다.
앞서 김성환 장관은 취임 50일 기자 간담회에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신규 대형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전 1기에 대해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해 국민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밝혀, 원전 신설을 재검토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 이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백지화됐던 영덕 천지원전이 재검토 대상으로 거론됐다.
이 대통령은 원전 정책이 정치적 쟁점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원전 정책이 이념전쟁이 되어선 안된다. 상대 쪽도 그랬으면 좋겠다”며 “원전은 10년 이후 지을 둥 말 둥 인데, 그게 대책이 될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 원전도 있는 건 쓰고, 가동 기간 지난 것도 안전성이 담보되면 연장해서 쓰고, 짓던 건 잘 짓고 그러면 된다”며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 쓴다는 정책은 변한 게 없다”고 덧붙였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