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시 APEC 준비, 차선도색 신공법 ‘전례 없는 재시공 명령’···졸속 행정 또다시 드러내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5-09-10 15:51 게재일 2025-09-11 5면
스크랩버튼
검증 안 된 신공법, 졸속 차선도색으로 또다시 행정 낭비
경주시청 전경./경주시 제공

 경주시가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벌이는 도로 정비공사<본지 7월7일·22일·29일. 8월 3일. 9월3일자 보도>에 새롭게 도입한 돌출형 차선도색 공법이 부실 시공 논란에 휘말렸다.  

시방서와 다른 하자가 속출하면서 시가 이례적으로 ‘재시공 명령’까지 내린 것이다. 시민들은 행정 관리 체계와 공사 계획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주시는 10일 북경주 IC 배반 네거리 12.5㎞ 구간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날 실시된 현장점검에는 경주시와 신기술 보유업체 A사, 시공사 B사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해 적용 신기술인 ‘상온경화형 도료와 원문양 돌기조성 차선도색 장비에 의한 노면표시공법’ 시공 상태를 확인했다.

앞서  지난달 22일 같은 공법이 적용된 배반네거리~경주IC 까지의 4.5㎞ 구간에 대해서 경주시가 시방서와 상이한 지점에 대한 보완 조치를 내렸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이 신공법이 기존 융착식 공법보다 내구성과 반사도 면에서 뛰어나고, 차선이탈 시 소음으로 사고 예방 효과까지 있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신기술’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업체가 제출한 시방서와 맞지 않는 시공이 다수 확인됐다. 

돌기 간격과 크기, 높이 등 규격은 기본부터 어긋났고, 차선 시작과 끝부분이 들쭉날쭉한 사례도 적발됐다. 결국 ‘최첨단 신공법’이 졸속 행정과 관리 부실로 신뢰를 잃고 있는 셈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도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더 엄격히 관리하겠다”라고 해명했지만,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이미 지난 장마철과 화랑대기 유소년축구대회 기간에는 공정 조율 실패로 흉물스러운 ‘검은 도로’가 방치되면서 시민 불편과 안전 위험을 키웠다.

경주시는 ‘APEC 명분’이라는 목표에 몰두하며 공사 속도와 치적 홍보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 행정 관리와 품질 보증 체계가 뒷전으로 밀린 것이다. 정작 시민 안전과 품질을 이유로 도입한 신공법이 하자투성이로 재시공 통보 조치까지 발생한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경주시의 행정 역량과 공사 관리 능력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 불만도 거세다. 한 시민은 “경주시가 APEC 성공을 치적으로 삼으려다 졸속·부실 시공으로 시민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외면하고 있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 ‘시민 안전’이 아닌 ‘정상회의 보여주기 행정’이라면서 APEC이 끝난 뒤에도 신공법 차선이 제대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또다시 혈세를 들여 손질해야 할지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