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해상광구 지분 참여’ 입찰 석유공사, 해외투자 유치 ‘성패’ 與는 ‘정보공개 부족’ 거센 비판
정부가 내년도 예산을 전액 삭감하며 사실상 국비지원이 끊긴 동해 가스전 개발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운명이 오는 19일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한국석유공사가 개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해외 투자 유치에 나선 가운데 ‘동해 해상광구 지분 참여’ 입찰 결과에 따라 사업의 존속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이를 앞두고 지난 8일 국회에서는 사업 추진 과정의 불투명성에 대한 날 선 지적이 쏟아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의원은 프로젝트의 1차 시추 중간 결과 발표가 지연되는 등 책임 있는 정보 공개가 부족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권 의원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향해 “안덕근 전 장관이 (대왕고래 프로젝트에 대해) 1750개가 넘는 시료를 확보했고, 이를 분석하면 다른 6개의 유망 구조에 대한 오차 보정으로 시추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면서 “중간 결과는 정밀 분석 후 5월이나 6월경에 발표하고 최종 보고를 8~9월경 한다고 했는데 8월은 지났다. 9월엔 할 수 있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최종 결과가 나오고 지금 관련된 절차들이 정리되면 보고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만 답했다.
권 의원은 안 전 장관이 유망성 평가의 신뢰성을 확인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사업의 관련 내용이 아직 발표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그러면서 지난해 12월 시추에만 8750만 달러(약 1200억 원)가 소요된 점을 지적하며 정부의 불투명한 진행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여론 수렴 등 일부 미흡한 부분이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최종 분석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사업 존속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정부는 최근 내년도 예산안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며 사실상 직접 지원을 중단했다. 문신학 산자부 1차관은 지난 1일 2026년 산업부 예산안 설명 브리핑에서 “신청 계획을 수립하지 못해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애초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예산 편성 과정에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다만 이재명 정부가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포기하는 것이냐는 질의에는 “에너지 부문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고 있다”면서 “현 상황에서 ‘포기한다’, ‘계속한다’ 말씀드리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정부가 한발 물러난 상황에서 결국 사업의 지속 여부는 석유공사의 해외 투자 유치 성패에 달렸다. 석유공사는 1차 탐사 시추에서 경제성 있는 저류층을 찾지 못했으나 동해는 이미 유가스(탄화수소를 연소시키거나 분해하여 얻은 연료 가스)가 확인된 지역이고,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양질의 사암층이 확인됐으므로 추가 분석을 통해 유가스의 흐름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