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행정기관 협력해 피해 차단 나선다
경북지역에서 소방과 교육기관을 사칭해 고가 장비나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사기 행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도민과 지역 업체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9일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접수된 소방관 사칭 시도는 총 14건에 달한다. 사기범들은 실제 소방공무원의 이름이나 위조된 명함, 구매확약서를 내세워 업체에 접근한 뒤 선납품이나 송금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지난 7월 포항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 60개가 긴급히 필요하다”는 말에 속아 1억 원이 넘는 금액이 송금되는 피해도 발생했다.
경북교육청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보고됐다. 지난 4일부터 교육청 소속 직원 명의가 도용돼 일부 업체에 물품 주문 확인 전화가 걸려왔고, 본청 콜센터에는 실명 여부를 묻는 문의가 잇따랐다. 교육청은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도내 각급 기관에 공문을 내려 사건 내용을 알렸으며, 홈페이지 알림창을 통해 학생·학부모·지역사회에도 주의를 당부했다.
두 기관은 공통적으로 “공식 문서와 이메일, 기관 전화번호를 통해서만 거래를 진행한다”며 “개인 휴대전화 연락이나 비공식 계좌 송금 요구는 모두 사기이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전국의 어떤 소방기관도 민간업체에 대리구매를 요청하지 않는다”며 “선결제 요구에 속지 말라”고 당부했다.
임종식 경북교육감은 “이번 사례는 도민과 소상공인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경찰과 협력해 추가 피해를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