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통과 현대의 조화···명장의 예술작품 속으로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09-09 16:40 게재일 2025-09-10 14면
스크랩버튼
대한민국명장회 대경지회 작품전
14일까지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명장 26명 예술·공예 작품 80여 점
트럼프에 선물한 ‘거북선 명장’ 등
타 지역 명장 10인 특별 참여 ‘눈길’
Second alt text
권수경作 ‘목 주전자’

 

Second alt text
김나미作 ‘상상의 동물 기린'
Second alt text
김명희作 ‘선성군 답호(16세기)'

 

Second alt text
박정열作 ‘Aquamarine Diamond’
Second alt text
박종병作 ‘비로자나불’
Second alt text
이계안作 ‘자연-도토’ 

조선시대 왕후 대례복, 비로자나불의 깊은 조각, 전통 목가구의 온기, 백자에 담긴 미감, 한 땀 한 땀 정성을 다한 자수, 정밀기계 기술이 구현한 정교함 등 각기 다른 명장의 손끝에서 탄생한 예술 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구·경북 명장들의 모임인 (사)대한민국명장회 대구경북지회의 제28회 작품전이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전관에서 개최된다.
 

‘대한민국명장’은 숙련기술장려법 제11조에 따라, 산업 현장에서 최고의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기술 발전과 기능인 위상 제고에 크게 기여한 기능인을 대상으로 고용노동부가 선정하는 국가 지정 명예직이다. 기계, 재료, 전기, 통신, 조선, 항공 등의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금속, 도자기, 목칠 등의 공예 분야까지 총 37개 분야 97개 직종에서 15년 이상 경력자를 대상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발된다.


각 분야의 명장들이 소속된 (사)대한민국명장회는 숙련 기술의 저변 확대와 장인정신 전수, 기능인의 권익 보호, 국가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그 지역 지회인 대구·경북지회는 2003년 창립 이후 지역 숙련 기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로 28회를 맞은 대한민국명장회 대구경북지회전은 산업과 예술, 문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오늘날, 사람의 손끝에서 비롯되는 ‘숙련 기술’의 진정한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전시에는 박종병 석공예명장, 최환갑 목재수장명장, 김정옥 도자기공예명장, 윤만걸 석공예명장, 류정순 한복명장, 김나미 자수공예명장, 권수경 목공예명장, 이희영 시계수리명장, 김태식 양복명장, 이순용 귀금속가공명장, 이학천 도자공예명장, 김복연 한복명장, 김세용 세라믹명장, 박정열 귀금속명장, 변종복 금속공예명장, 임호순 미용명장, 최옥자 섬유명장, 남진세 석공예명장, 이대건 농업명장, 오정철 기계조립명장, 이계안 도자공예명장, 김명희 한복명장, 남명숙 화훼장식명장, 신화남 미용명장, 최영옥·권미숙 화훼장식명장 등 대한민국명장회 대구경북지회 회원 26명이 참여해 80여 점을 선보인다. 

특히 올해는 최근 한미정상회담 기념으로 외교부에서 트럼프에게 준 선물 거북선 모형을 제작한 울산의 오정철 기계조립 명장 등 서울, 부산, 울산, 광주 등 타 지역 명장 10인이 특별 참여해 작품의 폭과 지역적 다양성을 더했다.
 

출품작들은 전통 재료와 기법을 기반으로 현대적 미감과 창의성을 결합해 기능미와 조형미, 장인정신과 예술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 특히 석조·도자·목공 분야의 작품들은 깊이 있는 조형성과 질감 표현이 뛰어나며, 복식과 장신구 분야는 섬세한 디테일과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일부 작품은 현대 산업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숙련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조망하고 있다.
 

김태곤 대백프라자갤러리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회는 살아있는 전통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라면서 “기술과 예술, 산업과 문화가 교차하는 현장에서 숙련 기술의 새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사회 품격과 감성 제고에 기여하며, 후학에게는 깊은 울림을, 관람객에게는 장인정신의 진면목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