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AI와 디지털 혁신 앞두고, 교육재정 확충과 합리적 운용 절실”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9-08 16:00 게재일 2025-09-09 2면
스크랩버튼
8일 미래교육 대전환 위한 지방교육재정 전략 포럼 개최
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미래교육 대전환을 위한 지방교육재정 전략 포럼’./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제공

전국시도교육감이 AI와 디지털 혁신을 위한 교육재정 확충과 합리적 운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뜻을 모았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미래교육 대전환을 위한 지방교육재정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이 포럼은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합리적 운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교육부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포럼에서 강은희 협의회장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교부금이 71조 7000억 원으로 줄어들면서 실제 교육 사업 축소가 불가피하다”며 “AI와 디지털 기반 변화, 지역소멸, 학습 격차 확대, 저출생과 돌봄 문제 등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은옥 교육부 차관과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수요 다양화를 언급하며, 지방교육재정이 미래교육을 위한 투자임을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국회의원도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가 미래교육 대전환의 핵심 과제”라며 “법제정비를 통해 지원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강원대학교 남수경 교수와 한국교육개발원 이선호 미래교육연구본부장은 각각 발제를 통해 ‘유·초·중등 교육재정의 수급 전망과 향후 과제’와 ‘새 정부 지방교육재정 정책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교육재정 전문가들이 재정 확충과 운용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정창수 나라살림연구소 소장의 ‘교육재정 주요 이슈를 바탕으로 지방교육재정 개편’, 박수정 충남대학교 교수의 ‘지방교육을 위한 자치와 재정의 중요성’, 권순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센터소장의 ‘교원 정원제도 운영상 쟁점과 과제’, 그리고 이경훈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재정 효율화를 위한 우선 순위 재배치와 안정적인 운용 체계 마련’ 등이 있었다.

송기창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이번 포럼은 변화하는 시대의 교육 수요를 반영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라며 “논의된 다양한 제안들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과 교육의 미래지향적 전환을 동시에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