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루지 시설 등 매출 손실 이틀간 수천만원~수억대 예상 市 “국제적 행사 성공 협조 당부” 지역경제·주민 생계 외면 ‘비판’ 시민단체 “즉각 보상 대책 마련”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 보문관광단지 입주업체들이 사실상 강제 휴장을 권고받아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경주시는 업체들의 손실을 무시한 채 “입주업체들이 국제행사 성공을 위해 협조해 달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시민과 지역 경제를 위한 최소한의 배려 조차 없는 행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경주시 관계자는 “보문단지 내 신라CC 등 입주업체들에게 휴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 휴장에 따른 대책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APEC 이후 업체들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정작 구체적 지원 방안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피해 규모도 적지 않다.
경주신라CC는 2800여 명의 회원을 보유한 36홀 골프장으로 연중 최고 성수기인 10월 하루 매출만 1억 원이 넘는다. 정상회의 이틀 동안 휴장하게 되면 수억 원의 직접 손실이 발생한다. 캐디 100여 명 중 80여 명은 일용직 형태로 근무하며, 하루 두 번 근무 시 1인당 28만 원의 수입을 올리는데, 이것이 생계의 전부인 이들에게 이틀간 휴장은 생계 위협이 된다.
또 보문단지내 루지 시설은 성수기에 하루 매출 4000만 원을 기록하지만, 이틀 휴장으로 8000만 원 가까운 손실이 예상된다.
오는 10월 중순 개장 목표인 ‘덱스터 스튜디오’ 또한 약 2억 원 규모의 피해가 예상되지만, 경주시와 APEC 준비 관계자들은 이러한 구체적 피해를 제대로 검토했는지 조차 의문시된다.
경주시는 국제행사 개최 명분만 강조하면서, 실제 피해를 입는 지역 경제 주체를 보호할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 행정 실수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주민 생계를 외면한 ‘무책임 행정’의 표본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국제행사 준비 과정에서 정작 시민과 지역 업계의 피해를 챙기지 않는 경주시의 모습은 무감각을 넘어 무책임 그 자체라는 볼멘소리가 많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경주시는 즉각 구체적 보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향후 국제행사 준비 과정에서 지역 경제와 주민 피해를 최소화할 체계적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제행사라는 명분 아래 소수 업체만 희생되는 현실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면서 “경주시는 더 이상 ‘나 몰라라’ 하지 말고, 지역 경제와 시민의 삶을 지키는 책임 있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