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왜 지하댐인가

우정구 기자
등록일 2025-09-07 15:12 게재일 2025-09-08 19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우정구 논설위원

지하댐이라고 하면 다소 생소한 표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몇몇 군데서 운용되고 있는 저수 시설이다. 일본은 1964년 한 학자의 주장으로 제기돼 현재 전국에 18개의 지하댐이 건설돼 있다.

유네스코 산하 국제지하수자원평가센터 자료에 의하면 현재 세계 50여 개국에서 1200개가 지하댐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사막에 지하댐을 만들어 도시로 용수를 공급한다.

지하댐이란 땅속 깊이 물막이 벽을 설치해 지하수를 모아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어촌공사가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고자 1984년 경북 상주에 지하댐을 만든 것이 최초다. 그러나 댐의 활용 면에서 큰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땅속 깊이에 지하수를 모아둠으로써 증발이 되지 않아 손실이 적고 기존의 댐보다 건설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강릉의 가뭄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기후위기에 대응할 대안으로 지하댐 건설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 속초시는 강릉과 비슷한 기후조건에 놓인 도시이면서 물 부족난을 지하댐 건설로 해결해 극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속초시는 1998년 주요 취수원 하천인 쌍천 일대에 지하댐을 건설해 취수원 용량의 절반을 해결했다. 이후 2021년 두 번째 쌍천 지하댐을 건설해 수십만t의 지하수를 저장하는 물 부자도시로 변모했다. 지난 7월에는 물 축제까지 벌일 정도였다.

강릉시는 생활용수의 80% 정도를 오봉저수지에 의존하고 있다. 저수지 물이 마르면 대안이 없다. 무더운 여름에 제한급수로 주민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우리나라 인구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8분의 1 수준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대책의 하나로 지하댐도 검토해볼만 하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