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인재 육성의 새 거점, 경북인재개발원 신도청 시대 개막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05 15:01 게재일 2025-09-06
스크랩버튼
63년 대구 시대 마감···디지털 교육환경 갖춘 미래형 교육기관으로 도약
경북인재개발원 전경./경북도 제공

경북인재개발원이 63년 대구 시대를 마감하고, 경북도청 신도시에서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경북도는 5일 ‘경북인재개발원 이전 개청식’을 열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스마트 교육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을 약속 했다.

경북인재개발원은 이번 이전을 통해 인재개발원은 경북도청 신도시 내 8만1583㎡의 부지에 연면적 1만3080㎡ 규모로 새롭게 자리잡았으며, 지상 4층·지하 1층의 건물에는 대강당, 강의실, 분임토의실, 동아리방, 식당, 생활관 등 교육과 생활을 아우르는 다양한 시설이 마련됐다. 특히, 첨단 스마트 강의실과 원격화상 교육 시스템, 디지털 교육 콘텐츠 플랫폼이 구축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선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철우 지사는 이날 개청식 기념사에서 “공무원의 공감, 헌신, 혁신, 청렴이 우리나라를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이끌었다”며 “경북인재개발원이 경북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를 양성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

경북인재개발원은 이번 개청과 함께 ‘공감, 헌신, 혁신, 청렴’을 핵심 인재상으로 설정하고, 4대 교육 전략을 발표했다. 신규 공무원 및 공공기관 입직자를 위한 실무 중심 교육, 7·8급 공무원의 직무 능력 심화 과정, 6급 공무원의 리더십 및 역량 강화 교육, 퇴직자를 위한 제2의 인생 설계 과정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이 제공된다.

정책기획 과정은 경북도 기획조정실과 경북연구원이 협업하고, 관광마케팅 과정은 문화관광체육국, 산림자원국, 경북문화관광공사와 연계해 실무 중심의 교육을 진행한다. 또한 기후 대응 과정은 기후환경국, 농축산유통국, 해양수산국, 농업기술원 등과 협업해 다부처 융합형 교육이 추진된다.

민원응대 치유 과정, 문화예술 과정, 경북 정신 함양 과정, 일·생활 양립 지원 과정, 독서 프로그램 등 공무원의 삶의 질 향상과 도민 대상 행정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교육도 운영된다. 정보화 기본 교육을 비롯해 동북지방통계청과 연계한 데이터 기반 행정 과정,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협력한 인공지능(AI) 활용 능력 과정 등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교육도 마련됐다.

지역 주민들은 “인재개발원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젊은 공무원들의 유입으로 상권도 살아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이번 이전은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경북의 인재 육성 전략이 디지털 시대에 맞춰 재편되는 상징적인 사건”이라며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