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연구원 이재필 박사 ‘CEO Briefing 제732호’에 연구 결과 발표
경북도가 초고령사회와 의료인력 부족이라는 이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형 보건진료소 3.0’ 모델을 제시했다. 이는 기존 보건진료소를 단순 진료 공간에서 벗어나 예방과 건강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기능을 통합한 생활밀착형 건강허브로 전환하는 것이 골자다.
경북연구원 이재필 박사는 최근 발표한 ‘CEO Briefing’ 제732호에서 “보건진료소는 단순 진료 기능을 넘어 예방, 건강관리, 돌봄,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재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은 이미 고령인구 비율이 26%를 넘었고, 일부 군 지역은 40%를 초과하는 등 인구 구조 변화가 급격하다. 이에 따라 만성질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공중보건의사 수는 2025년 기준 153명으로 급감해 보건지소의 60% 이상이 의사 없이 운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건진료소는 농어촌 지역의 유일한 의료 안전망으로서 기능 재정립이 시급하다. 현재 경북에는 297개소의 보건진료소가 운영 중이며, 하루 평균 이용자는 14명, 이 중 70% 이상이 고령자다.
하지만 대부분 경증질환 치료에 집중돼 있고, 만성질환·치매·정신건강 등 고령사회형 건강문제에 대응할 체계가 부족하다. 특히, 진단 장비 미비, 환자 정보 미연동, 인력 고령화 등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이재필 박사는 진료소 공간을 재배치하고 자가건강측정 부스, 운동실, 상담실 등을 설치해 고혈압·당뇨 관리,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ICT 기반 원격협진과 EMR.EHR 통합 플랫폼을 도입해 의료 접근성과 서비스 품질을 동시에 높이는 방안도 포함됐다.
또한 권역별 통합운영체계를 도입해 보건지소와 진료소를 ‘건강관리 권역’ 단위로 묶고, 전문인력 순환파견을 통해 1인 운영 한계를 해소하는 한편, 우선 의료취약군 3~4개 군, 20개소 내외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해 효과성을 검증한 뒤 단계적으로 도 전역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지방정부는 관련 조례 제정과 예산 편성, 인력 충원, 시설 현대화를 지원하고,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에게 연간 40시간 이상의 전문교육을 의무화ㅎ도록 하고, 중앙정부는 법 개정과 원격협진 수가체계 정비, 공중보건의사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민관 협업을 통해 지역 병원과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관 협업 측면에서는 경북도, 시·군보건소, 보건진료소, 지역의료계, 주민대표가 참여하는 ‘보건진료소 발전위원회’를 구성해 정책결정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지역 병원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원격협진, 응급환자 이송, 전문교육 등을 연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