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개최
경북교육청이 2일 ‘2026년도 경북교육비특별회계 본예산 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개최했다.
주민참여예산제는 2011년부터 경북교육청이 도입·운영해온 제도로 지역 주민이 직접 예산 편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주민의 의견을 예산에 반영함으로써 교육 재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가 됐다. 특히, 단순한 의견 수렴을 넘어, 교육 정책의 방향성과 재정 운용의 우선순위를 함께 결정하는 협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경북 도내 22개 시·군을 대표하는 주민들과 예산·행정 분야 전문가 등 총 3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이날 예산편성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한 심의 및 집약 활동을 수행했다.
앞서 경북교육청은 지난 6월과 7월 두 달간 도민을 대상으로 교육 재정 관련 주요 정책과 예산 현황을 공개하고, 주민 제안 사업을 접수 받은 결과 총 71건의 제안을 접수, 이 중 △지역 교육격차 해소 △학교 안전시설 개선 △학생 정신건강 지원 △디지털 교육환경 확충 등 교육청 소관 사업 37건에 대해 이날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위원회에서 채택된 의견은 각 소관 부서에 전달되어 2026년도 본예산에 반영될 예정이며, 예산 편성의 초기 단계부터 주민의 목소리가 실질적으로 반영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임종식 교육감은 “교육은 지역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며, 그만큼 예산 편성 과정에서도 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주민참여예산제를 더욱 확대해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와 교육 재정 운영의 투명성·효율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교육청은 앞으로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제안 접수, 지역별 설명회 개최, 청소년 참여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