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산불 대응 경험 공유, 지역 재건과 국가적 재난 대응체계 강화 모색
경북연구원은 지난 28일 ‘태풍 대비 산불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세미나’를 열고, 올해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도의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태풍 시기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경남연구원, 강원연구원 등 국내 주요 재난·기후·산림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해, 산불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토사 유출, 하천 범람, 토석류 등 2차 피해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다뤘다.
발표 내용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 패턴 변화와 인공강우 기술의 산불 예방 가능성(국립기상과학원 장기호 박사), 산사태 대응을 위한 비구조적·구조적 기술 개발 현황(국립산림과학원 유송 박사), 산불피해지 임시주거시설의 토사재해 저감 공법 적용 사례(국립재난안전연구원 김재정 박사), 재난피해 회복과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지원 정책(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상현 박사), 2025년 경북 초대형 산불 발생 사례 분석 및 대응 전략(경북연구원 최선규 박사), 경남지역 산불 피해 현황과 대응 체계(창신대학교 남기훈 교수, 경남연구원 대신 발표), 산불 극복을 위한 지역 뉴딜 제안(강원연구원 김경남 박사) 등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경북연구원은 올해 경북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의 원인과 피해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재건을 위한 ‘재창조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 복구를 넘어 지속가능한 지역 회복 모델을 구축하고, 향후 유사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철균 경북연구원장은 “경북은 올해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경험과 교훈을 전국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특히 태풍 시기를 앞두고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이 이번 세미나를 통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학술적 논의를 넘어, 현장 중심의 대응 전략과 지역 회복을 위한 실천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참석자들은 종합토론을 통해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체계 강화와 지역 간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 향후 지속적인 정보 공유와 공동 연구를 이어가기로 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