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화 작가 ‘시골에서는 고기 살 돈만 있으면 된다면서요’ 출간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을 법한 한가로운 시골 생활. ‘시골에서는 고기 살 돈만 있으면 된다면서요?’라는 흔한 오해를 정직하게 깨부수는 산문집이 출간되어 화제다.
농부의 딸로 태어나 고향 산골로 돌아온 김영화 작가의 ‘시골에서는 고기 살 돈만 있으면 된다면서요’가 그 주인공이다. 이 책은 겉으로만 보이는 낭만이 아닌, ‘살아내는 시골’의 리얼한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실제 농촌의 삶은 도시 생활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의식주는 물론, 씨앗값, 농약비, 농기계 유지비, 연료비, 인건비까지, 농사는 오히려 많은 자본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고된 직업이다. 저자는 이러한 농사의 본질을 유쾌하면서도 따뜻하게 독자에게 전한다. 충북 영동의 깊은 산골에서 감, 호두, 쌀 등 온갖 잡곡 농사를 짓는 ‘억척스러운 아가씨 농부’의 우당탕탕 영농 기록은 때로는 폭소를, 때로는 짠한 공감을 자아낸다.
책 속에는 감나무 가지치기 중 콧구멍을 찔려 응급실에 가고, 농약 살포기 고장으로 직접 해충약을 뒤집어쓰고, 밤중에 감을 수확하다 도둑으로 오해받는 황당한 에피소드들이 가득하다. 또한 애써 지은 농작물을 멧돼지가 망가뜨리고, 닭장에 침입한 매 때문에 119를 부르는 좌충우돌 시골살이는 독자에게 신선한 충격을 선사한다. 농협과 면사무소, 농업기술센터를 드나들며 기술을 익히고, 예초기가 무서워 헬멧을 쓰고 작업하는 저자를 ‘흰색 하이바’라고 사랑으로 부르는 마을 어르신들과의 정은 시골 삶의 또 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이 책은 단순히 귀농 체험기를 넘어, 도시와 농촌, 부모와 자식, 자연과 사람 사이에서 길을 묻고 답을 찾아가는 한 여성 농부의 인생기이자, 계절 따라 마음이 여물어가는 과정을 담은 산문집이다. 김 작가는 책을 통해 “시골에서도 돈은 듭니다. 하지만 도시에서는 쉽게 가질 수 없는 단단한 마음과 계절의 손길, 그리고 살아 있음의 본질이 여기에 있습니다”라고 전하며, 땅에서 먹거리를 만들고 정직한 노동으로 삶을 채우는 것의 의미를 묻는다. 귀농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현실적인 길잡이를, 도시 생활에 지친 이들에게는 삶의 본질을 되새기는 조용한 메시지를 건넨다.
김영화 작가는 충북 영동군 황간면에서 감, 호두, 벼농사를 짓는 ‘아가씨 농사꾼’으로, 땅의 언어를 글로 옮기는 일을 기쁘게 여기는 수필가이다.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