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에도 자기 관리 열풍 2년간 러닝 매장 매출 216% 상승 남녀 구분없이 외모 가꾸기 관심 정신건강도 일상적인 ‘셀프 케어’
경기 불황 속에서도 ‘나’를 위한 소비가 늘고 있다. 러닝부터 외모 관리, 정신 건강 관리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자기만족을 위한 지출을 뜻하는 ‘미코노미(Me+Economy)’ 트렌드가 확산하는 것이다.
26일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미코노미 관련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러닝이 가성비 높은 자기관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러닝 전문 매장 이용 건수와 결제금액은 각각 203%, 216% 상승했다.
포항의 러닝크루 소속 김모씨(34)는 “뛰는 것만큼 좋은 운동이 없다. 러닝화만 있으면 되니 부담도 적다” 며 만족감을 보였다.
‘저속노화’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피부 관리 수요도 급증했다.
프랜차이즈 피부과의 경우 최근 2년간 100만원 이상의 고액 결제 건이 31.2% 증가했다. 여전히 여성의 비율이 높지만 30대 남성의 이용 건수는 73.7% 늘어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외모 관리도 일종의 ‘스펙’으로 인식되며 남녀를 가리지 않고 외모를 가꾸는데 투자하는 추세라는 분석이다.
턱수염 레이저 제모를 받고 있다는 박모씨(39)는 “면도를 해도 수염 자국이 진한 편인데 아내의 권유로 시술을 시작했다”며 “요즘은 깔끔한 얼굴이 트렌드라 패키지를 끊어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탈모·두피 관리 전문점도 인기를 끌고 있다.
2023년부터 이용 건수가 27.7% 증가했으며 남성의 비중이 54%를 차지했다. 다만 1건당 결제 금액은 여성이 남성보다 15.1% 높아 성별 구분 없이 두피 건강에 관심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체형·비만 관리 수요도 눈에 띈다.
특히 남성의 경우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이용 건수가 50~60%씩 늘며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최근 국내에 도입된 다이어트 주사도 유행을 타면서 수요를 끌어올렸다. 포항의 맘카페를 비롯한 지역 커뮤니티에서는 저렴한 병원을 수소문하거나 후기를 공유하는 등 높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다이어트 주사를 맞고 있다는 강모씨(37)는 “가격이 좀 비싸긴 하지만 바쁜 일상에서 노력 대비 효과가 좋아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외적 관리 뿐 아니라 정신 건강 관리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최근 2년간 정신건강의학과 이용 건수와 지출 금액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30~40대의 비중이 높았다. 연령대별로 20대는 연애·진로, 30대는 가족·직장, 40대는 자녀, 50대는 우울증 관련 상담이 주를 이뤘다. 과거 치료의 영역으로만 인식되던 정신건강 관리가 이제는 일상적인 ‘셀프 케어’ 차원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외적·내적으로 자신을 가꾸며 돌보고 있다. 자기 자신을 위한 소비, 이제는 사치가 아닌 하나의 ‘투자’로 자리 잡고 있다.
/정혜진기자 jhj1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