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대표 수산물인 오징어가 수년째 잡히지 않아 어민들이 생계난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어민들은 해마다 어선 감척을 신청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 고통이 이어지고 있다.
울릉군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울릉도 총 어선은 129척으로, 이 가운데 90% 이상이 오징어 채낚기어업에 종사한다. 그러나 어획량이 급감하자 올해만 전체 어선의 24.03%에 해당하는 30여 척이 생업을 포기하고 감척을 신청했다. 하지만 실제 감척 확정은 13척에 불과했다.
어선 감척사업은 정부가 지난 1994년부터 수산자원 회복과 적정 어선세력 유지를 위해 시행 중이다. 수십 년간 바다에서 일한 어민들은 감척을 통해 부채를 갚거나 생활자금으로 활용하는데, 일종의 퇴직금 성격을 지닌다.
특히 울릉도 채낚기 어선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9.77t급은 지난해 6척, 올해 7척 등 최근 2년간 13척이 줄었다. 채낚기 어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어선들이 크게 감소한 셈이다.
올해 울릉군 연안어선 감척(폐업) 신청 현황을 보면 △9.77t급 10척 △7.93t급 2척 △7.31t급 3척 △56.99t급 6척 △34.99t급 4척 △2.99t 미만 2척 등 총 30여 척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확보된 예산이 부족해 △9.77t 7척 △7.31t 1척 △6.49t 1척 △6.43t 1척 △6.19t 1척 △4.71t 1척 △2.99t 1척 등 12척과 지난해 확정분 1척 등 모두 13척만 감척 대상에 포함됐다.
울릉군은 지난해 18억3000만원을 들여 6척을 감척했으며, 올해는 28억8700만원을 확보해 두 배 이상 감척이 가능해졌다. 감척 대상 어선은 감정평가를 거쳐 최종 사업자가 선정되면 인계 절차를 밟게 되며, 감정가에 따라 1~2척 추가 감척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감척에서 탈락한 어선들이다. 이들은 내년에 다시 신청하려면 연간 60일 이상 조업 실적을 채워야만 ‘어민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오징어가 잡히지 않아도 유류비와 인건비를 들여 억지로 배를 띄울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울릉도 어민들은 “오징어가 잡히지 않아 바다에 나가도 소득이 없다”며 “감척 신청 자격이라도 유지하려고 하루하루 바다로 나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오징어 어획 부진으로 생업이 사실상 막힌 만큼, 감척을 신청하는 모든 어민이 다른 생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김두한 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