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트럼프와 정상회담 주한미군 등 굵직한 현안 촉각 워싱턴서 동포 만찬 간담회도
일본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일본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이동했다. 양국 간 현안이 쌓여 있는 만큼 미국행 비행기에서 이 대통령의 고심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오후 워싱턴DC에 도착해 동포 만찬 간담회로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25일 오전에는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에 이어 오찬으로 이어지는 일정이다. 본격 회담에 앞서 양국 언론을 상대로 한 약식 질의응답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회담에서는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협상의 세부 협의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개시를 공식화하는 방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파악돼 주목받고 있다.
한미 원자력협정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양국 간 협력 범위와 권리·의무 등을 규정한 것이다. 지난 2015년 41년 만에 개정된 현행 협정은 2035년까지 유효하기에 시한 만료 임박에 따른 개정 협상의 시기는 아니지만 한국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정에 의지를 보여왔다. 한국 측이 원하는 협정 개정 방향은 결국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역량 확보를 통해 ‘핵연료 주기’를 완성하는 것이다.
현재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 동의를 얻어야만 20% 미만으로 우라늄을 농축할 수 있으며,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하지 않게끔 돼 있다.
25일 오후에는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과 미국 재계 인사들이 함께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가 열린다. 이후 이 대통령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정책연설 및 만찬 간담회에도 참석한다. 순방 마지막 날인 26일 오전에는 알링턴 국립묘지 헌화를 시작으로 필라델피아로 이동, 서재필 기념관을 찾는다. 이어 미측 고위 관계자와 함께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를 둘러보며 3박 6일간의 한·미 순방 일정을 마무리한다.
한편,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24일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통상 대통령이 출국 중일 때 비서실장은 국내에 남아 국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서실장의 별도 출국은 매우 이례적이다. 강 실장의 순방단 합류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 등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대통령실을 비우게 됐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